"곰팡이균 일종 '칸디다균' 요로감염 급증…혈류감염 땐 사망위험 높아"

강남세브란스병원 "고령화·요로 카테터 사용 증가가 원인"

 곰팡이균의 일종인 칸디다균에 의한 요로감염이 10년 새 6배로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정석훈·최민혁 교수팀은 2011∼2021년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8만4천4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감염 원인균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요로감염은 비교적 흔한 감염질환 중 하나로 요도와 방광, 요관, 전립선 등에 각종 균(미생물)이 침입해 염증성 반응을 유발한다. 대부분 장내 세균이 감염원이지만 고령화와 요로 카테터(인체에 삽입하는 의료용 관) 사용 증가 등으로 원인균이 다양해지는 중이다.

 요로감염은 그 자체로는 예후가 나쁘지 않지만 2차 혈류감염으로 진행하면 사망률이 20~40%에 달한다.

 이번 연구 결과를 보면 칸디다균에 의한 요로감염 비율은 2011년 2.3%에서 2021년 14.4%로 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요로감염이 혈류감염으로 진행된 5천137명 중에는 65세 이상의 고령층(62.2%)과 요로 카테터 사용자(60.8%)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정석훈 교수는 "기존에는 대장균이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이었지만 고령화 추세에 요로기계 카테터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칸디다균 등에 의한 요로감염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요로감염이 혈류감염으로 이어지면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도 있는 만큼 의료현장에서 적절한 조치와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감염 저널'(Journal of infection)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무조정실,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 확대 권고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고 29일 밝혔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들은 약국 앞에 설치된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를 통해 약사와 화상통화로 상담·복약 지도 후 일반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지난 2022년 6월 국내에서 규제유예제도(규제샌드박스)로 특례를 부여받아 2023년 3월부터 8대가 운영 중이다. 신산업규제혁신위는 "약효군을 확대하더라도 국민 건강·안전상 우려가 크지 않고, 국민의 의약품 접근성·편의성 및 경증 환자의 응급 의료 혼잡도 개선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위원회는 한약사가 개설한 약국 앞에 스마트 화상판매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행 관리 체계상 불허하기로 권고했다. 아울러 위원회는 반려동물병원 수의사가 동물 진료 목적으로 인체용 의약품을 사용하려고 할 때 약국이 아닌 의약품 도매상으로부터 구매가 가능하도록 실증 특례 부여를 권고했다. 이를 통해 유통 단계를 줄임으로써 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동물병원에서 사용되는 인체의약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