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요 일정](3일·화)

[오늘의 주요 일정](3일·화)
[정치]
▲ 대통령
    국무회의(10:00 용산 대통령실)
▲ 국무총리
    국무회의(10:00 용산 대통령실)
▲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14:00 국회)
▲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신임 대통령 취임식 경축특사단
    주호영 원내대표, 원내대책회의(09:00 국회)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대표, 인천상공회의소 신년인사회(11:15 송도컨벤시아 2층 프리미어볼룸 구관, 인천 연수구 센트럴로 123)
    박홍근 원내대표, 원내대책회의(09:30 국회 본청 원내대표 회의실)
    박홍근 원내대표,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 협의회 간담회(11:00 국회 본청 원내대표 회의실)
▲ 정의당
    이정미 대표, 통상업무
    이은주 원내대표, 의원총회(09:30 국회 본관 앞 농성장)

[한반도]
▲ 통일부, 2022년 '업무유공' 장관표창 수여식(15:00 장관실)

[경제]
▲ 기재부·금융위, 범금융 신년 인사회(14:00 서울 롯데호텔)
▲ 공정위, 공정위 시무식(15:00 공정위 다목적강당)

[산업]
▲ 산업부, 설 민생안정대책 민당정협의회(07:30 국회)
▲ 산업부, 바이오 관련 현장방문(13:40 LG화학 오송공장)
▲ 산업부, 산업부 시무식(16:00 정부세종청사)
▲ 중소벤처기업부, 국립묘지 참배(10:40 대전현충원)
▲ 해수부, 국립현충원 참배(13:40 대전)
▲ 해수부, 원격지 근무자 격려(17:00 세종)

[IT의료과학]
▲ 방통위, 국립묘지 참배(09:40 국립서울현충원)
▲ 방심위 방송소위(10:00 대회의실)
▲ 방심위 광고소위(14:00 대회의실)
▲ 과기정통부, 과기정통부 시무식(14:00 과기정통부 청사)
▲ 과기정통부, 신년 국립 대전현충원 참배(16:30 국립대전현충원)

[사회]
▲ '1천억대 사기' 이정훈 전 빗썸 의장 1심 선고(14:00 서울중앙지법 311호)

[정책사회]
▲ 복지부, 의료계 신년 하례회(10:00 프레스센터)
▲ 복지부, 약계 신년 교례회(16:00 대한약사회관)
▲ 식약처, 약계 신년 교례회(16:00 대한약사회관)
▲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 국무회의(10:00 정부서울청사)
▲ 환경부, 환경부 업무보고(17:00 용산 대통령실)

[문화]
▲ 문체부, 2023년 부내 신년인사회(15:00 정부세종청사 문체부)

[경기]
▲ '준예산 체제' 성남시, 선결처분 관련 기자회견(10:00 3층 회의실)
▲ 경기도-미국 린데 반도체 희귀가스 투자 협약(14:00 린데 평택공장)

[충북]
▲ 청주상의 신년인사회(11:00 그랜드플라자 청주호텔)

[강원]
▲ 춘천상공회의소 신년 인사회(11:00 춘천 스카이컨벤션)

[광주전남]
▲ 광주상공회의소 2023년 신년인사회(10:30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 노관규 순천시장 신년 기자간담회(11:00 순천시청)

[전북]
▲ 전북도 상공회의소 신년인사회(11:00 라한호텔)

[경남]
▲ 밀양시 신년 시정 브리핑(11:00 밀양시청)
   
[부산]
▲ 2023년 부산시 구상사업 발굴 보고회(09:00 부산시청)
▲ 2차 전지 생산공장 건립 업무협약(14:30 부산시청)

[국제](현지시간)
▲ 중국 외교부 정례브리핑(15:00)
▲ 베네딕토 16세 전 교황 일반 조문 이틀째(07:00·바티칸 성베드로 대성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화상으로 피부를 잃은 사람이 자기 세포로 인공피부를 만들어 이식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포항공대(POSTECH)는 신소재공학과·융합대학원 이준민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강래희씨 연구팀이 이화여대 박보영 교수, 고려대 김한준 교수와 함께 환자의 세포와 조직으로 맞춤형 인공피부 이식재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화상이나 만성 상처 치료에 주로 사용하는 자가피부 이식법은 이식에 필요한 건강 피부가 부족하다거나 수술 후 흉터가 남는다는 한계가 있다. 대안으로 '무세포 진피 매트릭스'나 '세포 주사 요법' 등이 있으나 인공 재료의 경우 환자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세포 주사의 경우 생존율이 낮아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몸이 기억하는 재료로 새살을 만드는 법에 주목했다. 환자 피부에서 세포를 제거한 탈세포화 세포외기질을 만들고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와 함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재조합했다. 환자의 단백질 조성과 미세구조를 보존하고 있는 자기 조직을 피부 재생에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연구팀이 맞든 맞춤형 이식재는 실제 피부와 비슷한 복잡한 단백질 환경을 재현했다. 산소 공급을 위한 새로운 혈관도 활발히 자라났다. 동물실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