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요 일정](23일·목)

[오늘의 주요 일정](23일·목)
[정치]
▲ 이재명 대통령
제14차 수석보좌관회의 주재(14:00 대통령실)
▲ 김민석 국무총리
2025 APEC 최종 현장점검(경북 경주시)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10:00 본관 406호)
교육위원회 국정감사(10:00 충북대학교)
교육위원회 국정감사(10:00 경남교육청)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10:00 본관 627호)
국방위원회 국정감사(10:00 계룡대)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10:00 서울시청)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10:00 본관 506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10:00 본관 534호)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10:00 본관 622호)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10:00 본관 529호)
정무위원회 국정감사(14:00 부산국제금융센터)
교육위원회 국정감사(14:00 충북대학교)
교육위원회 국정감사(14:00 경남교육청)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14:30 부산지방국세청)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14:30 대전지방국세청)
국방위원회 국정감사(15:00 계룡대)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서울시청감사 종료 후 서울경찰청)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대표·김병기 원내대표, 국방위원회 국정감사(10:00 공군본부(계룡))
정청래 당대표·김병기 원내대표, 국방위원회 국정감사(15:00 해군본부(계룡))
정청래 당대표, 2025 국민미래포럼(07:45 CCMM빌딩 12층 컨벤션홀)
정청래 당대표, 제16회 아시아미래포럼 <민주주의의 미래>(08:30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
김병기 원내대표, 국정감사대책회의(09:00 국회 본청 원내대표회의실)
▲ 국민의힘
장동혁 당대표, 국민일보 주최 <2025 국민미래포럼>(07:30 CCMM빌딩 12층 컨벤션홀)
장동혁 당대표, 최고위원회의(08:30 본관 228호)
장동혁 당대표, 2025년도 국정감사 -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10:00 본관 534호)
송언석 원내대표, 캄보디아 사태 관련 기자간담회(08:00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1층 동측 해당화실)
▲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 2025 국민미래포럼(07:30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CCMM빌딩(국민일보) 12층 컨벤션홀)
이준석 대표, 최고위원회의(09:00 본관 170호)
이준석 대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10:00 본관 627호)
천하람 원내대표,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14:00 대전지방국세청)
▲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서왕진원내대표, 비상대책위원회 회의(09:30 국회 본관 당회의실)
조국 비상대책위원장, 2025 국민미래포럼(07:30 CCMM빌딩 컨벤션홀)
조국 비상대책위원장, 제16회 아시아미래포럼 개회식(08:30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
조국 비상대책위원장, 청년 주거권 보장을 위한 정책간담회(10:40 민달팽이유니온 회의실)
서왕진 원내대표, [국정감사]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 중소벤처기업부 소관기관(10:00)
서왕진 원내대표, [토론회] 제7회 재생에너지의날 행사(14:00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

 

[외교안보]
▲ 박윤주 외교부 1차관, 필리핀 출장
▲ 국방부, ADEX 에스토니아 국방장관 양자회담(10:00)
▲ 국방부, ADEX 폴란드 국방위원장 양자회담(13:20)
▲ 국방부, ADEX 알제리 특임장관 양자회담(14:30)
▲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제18회 특수임무전사자 합동위령제(11:00 성남시 금토동 충혼탑)
▲ 강윤진 국가보훈부 차관, 차관회의(10:00 정부서울청사)
▲ 통일부, 정순택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예방(11:00 명동성당)

 

[경제]
▲ 이창용 한은총재, 금통위 본회의(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09:00 본관 16층 회의실)
▲ 이창용 한은총재, 통화정책방향 기자 간담회(11:10 별관 2층 컨퍼런스홀)
▲ 금융위,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10:00 프레스센터)
▲ 남동일 공정부위원장, 차관회의(10:00 정부세종청사)

 

[산업]
▲ 국토부, 공인중개업계 간담회(14:30 서울)
▲ 국토부, 강릉ITS 조직위원회 출범식(14:30 서울)
▲ 김정관 산업부 장관, 국외 출장(미국)
▲ 산업통상부, 미주개발은행 부총재 면담(14:00 대한상의)
▲ 산업통상부, 수출지역담당관 회의(15:00 서울)
▲ 산업통상부, 제14차 소부장 경쟁력강화위(16:00 정부서울청사)

 

[소비자경제]
▲ 중기부, 셜벤처 활성화 간담회(10:00 KT&G 상상플래닛)
▲ 중기부,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을 위한 대기업과의 간담회(14:00 한국경제인협회)
▲ 중기부, 소부장경쟁력강화위원회(16:00 정부서울청사)
▲ 해수부, 혁신우수공무원 시상식(17:00 세종)

 

[테크]
▲ 식약처, APEC 현장점검(14:30 경주)
▲ 최원호 원안위원장, 제223회 원자력안전위원회(10:30 원자력안전위원회)
▲ 과기정통부, 뷔나 그룹 투자 의향서 전달식(11:30 국회)
▲ 과기정통부, 오픈AI 글로벌 정책 총괄 부사장 면담(14:00 웨스틴조선 호텔)
▲ 과기정통부, AI안전연구소 현장방문 및 간담회(15:00 판교 AI안전연구소)

 

[사회]
▲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영장실질심사(10:10 중앙지법)
▲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영장실질심사(15:00 중앙지법)

 

[정책사회]
▲ 행안부, 산하기관 경영혁신 성과보고회(11:00 정부세종청사)
▲ 행안부, 새정부 국정철학 강의 참석(10:20 세종)
▲ 성평등가족부, 출입기자 간담회(11:00 서울 종로구)
▲ 송경희 개보위 위원장, 개인정보 정책포럼(한국광고문화회관)
▲ 노동부, 정부혁신·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시상식(10:00 서울고용노동청)
▲ 노동부, 권리밖 노동 지원 공개토론회(14:00 국회)
▲ 기후부, 재생에너지의 날 기념식(14:00 국회)
▲ 복지부, 보건안보분야 R&D사업 현장간담회(10:20 서울)
▲ 복지부, 자살예방상담전화(109) 2센터 개소식(14:00 서울)
▲ 교육부,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현장교원 간담회(15:00 전주미산초)
▲ 차정인 국가교육위원장, 국가교육위원회 제61차 회의(15:00 정부서울청사 413호)
▲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 '사교육경감' 시민참여단 토론회(10:00 백범김구기념관)

 

[문화]
▲ 문체부,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시상식(18:00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문체부, 2025년 하반기 환영주간 개막식 (11:00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1층)

 

[경기북부]
▲ 킨텍스 제3전시장 착공식(10:00 킨텍스 제1전시장 주차장)

 

[부산]
▲ 제106회 전국체전 폐회식(17:30 아시아드 주경기장)

 

[울산]
▲ 울산시체육회, 제45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 결단식(11:00 시티컨벤션)
▲ 동구,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15:00 동구종합사회복지관)

 

[경남]
▲ 대한화학회 추계 학술발표회 미디어 인터뷰(11:00 창원컨벤션센터)
▲ 2025 남해안 생굴 위판 초매식(14:00 통영굴수하식수협)

 

[광주전남]
▲ 2025 국제농업박람회 개막식(14:30 전남 나주시 전남농업기술원)
▲ 남도영화제 시즌2 개막식(17:30 광양시민광장 야외공연장)

 

[전북]
▲ 제2회 전북 청년 창업박람회 개막(13:00 전주 한옥마을 일대)
▲ 새만금 이차전지 국제컨퍼런스(14:00 군산 지스코)

 

[충북]
▲ 2025 오송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 개막(14:00 청주오스코)

 

[강원]
▲ 원주 치악산 바람길 숲 개통식(10:00 원주 우산동∼반곡역)

 

[국제](현지시간)
▲ 중국 4중전회 폐막
▲ 중국 외교부 브리핑
▲ 강경화 대사, 블룸버그 TV 'Balance of Power' 인터뷰
▲ 구글 리서치 콘퍼런스
▲ 영국 찰스 3세 국왕, 바티칸 국빈 방문
▲ EU 정상회의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인구정책 회의 주재
▲ 마코 루비오 美국무장관 이스라엘 방문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화상 치료 새 길 열렸다…자기 세포로 인공피부 제작
화상으로 피부를 잃은 사람이 자기 세포로 인공피부를 만들어 이식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포항공대(POSTECH)는 신소재공학과·융합대학원 이준민 교수,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강래희씨 연구팀이 이화여대 박보영 교수, 고려대 김한준 교수와 함께 환자의 세포와 조직으로 맞춤형 인공피부 이식재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화상이나 만성 상처 치료에 주로 사용하는 자가피부 이식법은 이식에 필요한 건강 피부가 부족하다거나 수술 후 흉터가 남는다는 한계가 있다. 대안으로 '무세포 진피 매트릭스'나 '세포 주사 요법' 등이 있으나 인공 재료의 경우 환자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세포 주사의 경우 생존율이 낮아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몸이 기억하는 재료로 새살을 만드는 법에 주목했다. 환자 피부에서 세포를 제거한 탈세포화 세포외기질을 만들고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와 함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재조합했다. 환자의 단백질 조성과 미세구조를 보존하고 있는 자기 조직을 피부 재생에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연구팀이 맞든 맞춤형 이식재는 실제 피부와 비슷한 복잡한 단백질 환경을 재현했다. 산소 공급을 위한 새로운 혈관도 활발히 자라났다. 동물실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