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음성인식으로 유전자검사' 시스템 개발…감염 차단

 음성인식 기술을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병원체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활용해 검사자의 감염 가능성을 차단하는 시스템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서태석 경희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폰 앱으로 음성을 인식해 작동되는 바이러스 진단 마이크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음성 명령을 통해 인간의 간섭 없이 핵산 추출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식으로 설계돼 검사자가 시약에 노출될 여지를 없앴다.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하면 스마트폰이 이를 수신해 블루투스로 시스템 내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전달하면 시료·세척용액·용출용액 등이 로딩되며 1분 이내에 핵산 추출 과정을 완료하는 방식이다.

 핵산 추출은 분자 진단을 위해 병원체의 게놈 리보핵산(RNA) 혹은 디옥시리보핵산(DNA)을 분리하는 과정이다.

 마이크로리터(㎕·1㎕는 100만분의 1ℓ) 규모의 여러 시약을 정밀하게 조작해야 해서 부피가 큰 장비와 전문가가 투입되고 있는데, 작업자가 이 과정에서 감염될 가능성이 있었다.

 연구진은 검사자의 감염 가능성을 원천 차단해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서 교수는 "바이러스 진단 시스템에 음성인식 기능을 적용하면 환자 시료의 유출이나 오염된 장갑 등 예상하지 못했던 잠재적 감염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시스템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보건의료 R&D 사업을 통해 수행됐으며, 센서 분야의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인 'ACS Sensors'에 2월1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서 교수는 "노인, 장애인도 손쉽게 집에서 자가 진단을 할 수 있도록 분자 진단 전과정을 스마트폰 음성 명령으로 수행하는 통합형 미세유체 시스템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