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때 줄었던 음주율 다시 늘었다…비만율도 증가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 관리는 개선…우울감 경험 증가세
질병청,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코로나19 유행 기간 줄었던 음주와 흡연율이 지난해 다시 높아지고 비만율도 증가하는 등 우리 국민의 건강 관리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고혈압과 당뇨병 치료율이 증가하면서 만성질환 관리 행태는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질병관리청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23만1천7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지역주민의 건강실태를 파악하고 보건의료계획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2008년부터 산출하고 있는 시·군·구 단위의 건강통계다.

 ◇ 한 달에 1회 이상 술 57.7%…흡연율도 증가

 코로나19 유행 속 2020년부터 감소하던 음주율은 작년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최근 1년간 한 달에 1회 이상 술을 마신 적이 있는 사람의 비율은 57.7%로 전년 대비 4.0%P(포인트) 증가했다.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는 7잔(또는 맥주 5캔) 이상, 여성은 5잔(또는 맥주 3캔) 이상을 최소 주 2회 마신 '고위험음주율'은 12.6%로 전년 대비 1.6%P 늘었다.

 고위험음주율의 지역 간 격차는 16.0%P로 전년(15.7%P) 대비 소폭 증가했다. 고위험음주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 정선(22.1%)이고, 가장 낮은 곳은 세종(6.1%)이다.

' 평생 5갑(100개비) 이상 흡연을 했고 현재 흡연하는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흡연율은 2009년(26.7%)부터 감소해 2021년에 19.1%로 떨어졌지만, 작년에 0.2%P 증가해 19.3%가 됐다.

 성별 흡연율 증감에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 흡연율은 35.3%로 전년 대비 0.3%P 감소했지만, 여성의 경우 3.4%로 0.7%P 증가했다.

 전자담배 흡연율도 늘었다. 종류별로 액상형 흡연율은 2.3%, 궐련형은 4.3%로 각각 전년 대비 0.3%P, 0.7%P 증가했다.

 ◇ 국민 절반 주5일 30분 이상 걷지만…비만율 증가

  신체활동 지표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30분 이상, 최소 주 5일간 걸은 사람'의 비율은 47.1%로 전년 대비 6.8%P 늘었다.

' 최근 1주일 동안 하루 20분 이상 주 3일, 혹은 하루 30분 이상 주 5일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의 비율도 작년 23.5%로 전년 대비 3.8%P 증가했다.

 이처럼 신체활동은 늘고 있지만, 비만율은 오히려 증가했다.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인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는 '자가보고 비만율'은 작년 32.5%로 전년 대비 0.3%P 증가했다.

 자가보고 비만율의 지역 간 격차는 25.0%P로 전년(17.7%P)보다 대폭 늘었다. 가장 높은 지역은 충북 단양(45.6%), 가장 낮은 지역은 경기 과천(20.6%)인 것으로 나타났다.

 

 ◇ 고혈압·당뇨 치료율 90% 상회…정신건강은 '빨간불'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의 치료율은 2021년에 이어 90% 이상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우리 국민의 만성질환 관리가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에게 해당 질환을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30세 이상의 비율은 고혈압의 경우 93.6%로 0.3%P 증가했다. 당뇨병 치료율은 91.8%로 0.6%P 늘었다.

 병원에서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은 줄고 당뇨병은 늘었다.

 의사에게 해당 질환을 진단받은 30세 이상의 비율은 고혈압의 경우 19.8%로 0.2%P 감소했고, 당뇨병의 경우 9.1%로 0.3%P 증가했다.

 자신의 혈압과 혈당 수치를 알고 있는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혈압 및 혈당수치 인지율은 각각 62.9%와 28.4%로 전년 대비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을 경험한 국민의 비율은 4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 최근 1년간 2주 연속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을 경험'한 국민은 작년 6.8%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끼는 사람은 23.9%로 2.3%P 줄었다. 그러나 이는 국민 4명 중 1명가량에 해당하는 높은 수준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19세 이상 성인의 신체활동은 나아졌으나, 코로나19 유행 이후 개선된 흡연, 음주율은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 청장은 "2022년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단계적으로 일상을 회복해 온 해로, 조사 결과에도 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개선 중이던 지표가 다시 나빠진 원인 등 관련 요인을 심층 분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의료 '복합위기' 직면…국책연구기관, 시스템 붕괴 경고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가 의사 인력의 불균형, 왜곡된 의료 전달체계, 불공정한 보상 구조라는 삼중고에 직면했으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시스템 붕괴라는 연쇄적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종합 진단이 나왔다. 국책연구기관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24시간 의료 길잡이' 서비스 도입과 같은 구체적인 미래상을 제시하며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26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한국 보건의료는 개별적 문제가 아닌 여러 위기가 중첩된 '복합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보고서가 지적한 위기의 핵심은 의료인력의 극심한 불균형이다. 2024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충원율을 보면, 소아청소년과는 26.2%, 심장혈관흉부외과는 38.1%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다. 반면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등 소위 '인기 과목'은 100% 충원율을 기록하며 의사 인력이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를 외면하는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지역 간 의료 격차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수도권의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