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광객도 피부·성형외과 쏠림…13년새 전체의 13.8%→28.1%

보건산업진흥원 "K-뷰티 관심 높아지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

 지난 13년 동안 한국의 의료기관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 중 '미용 진료'가 대부분인 성형외과·피부과 환자 비중이 두 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2022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통계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집계가 시작된 2009년 전체 진료과별 실환자 6만4천464명 중 성형외과·피부과 환자 비율은 13.8%(8천866명)였지만, 2022년에는 29만3천350명 중 8만2천374명으로 전체의 28.1%에 이르렀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역대 최대 외국인환자 수인 59만866명을 기록한 2019년에는 29.7%에 달했다.

 외국인환자 중 성형외과 진료 비중은 2009년 4.4%에서 2019년 15.3%까지 꾸준히 늘었다.

 코로나가 정점이었던 2020년과 2021년에 주춤했지만, 유행세가 잦아든 지난해에는 15.8%로 최고였다.

 외국인 환자의 피부과 진료 비중도 2009년 9.3%에서 2019년 14.4%로 높아졌다가 지난해에는 12.3%를 기록했다.

 반면 외국인환자 중 일반내과·감염내과 등 내과통합 진료 환자는 2009년 28.5%였지만 2022년엔 22.3%로 줄었다.

 검진센터를 찾은 환자도 같은 기간 13.9%에서 6.6%로 줄었다.

 한국 성형외과·피부과를 많이 찾은 것은 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 환자들이다.

 성형외과 외국인 환자 가운데 태국 비중이 24.2%로 1위였으며 그다음은 일본 18.6%, 중국 13.9%, 미국 11.0%였다.

 피부과는 중국 23.0%, 일본 19.1%, 미국 15.1%, 태국 12.3% 순이었다.

 태국과 일본 환자들은 성형외과와 피부과 진료 비율이 70% 안팎에 달했다.

 진흥원은 성형외과와 피부과를 찾는 일본·태국 환자들이 특히 많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 "관광객 유입 증가, 국경제한 완화, 관광비자 발급, SNS 홍보 등으로 시술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홍보 활성화 등으로 인해 K-뷰티 관심도가 상승하면서 피부·성형외과 외국인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유통 안전 훼손"
대한약사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 측 권고에 대해 "의약품 유통과 사용 관리를 위한 안전장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대한약사회는 지난 28일 성명을 내고 "화상 투약기는 이용률과 판매 실적이 매우 낮아 국민 편익에 부합하지 못한다"며 "사업성과 사회적 편익 증가가 부족한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약국 외 격오지에도 (화상 투약기를) 설치하라는 권고는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이라며 "'대면 원칙'과 '약국'이라는 의약품 유통 및 사용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훼손된다"고 했다. 아울러 경구용 피임제, 수면유도제 등 품목이 화상 투약기를 통해 판매되는 데 대해 "이는 해외에서 매우 까다롭게 관리하는 품목"이라며 "약학 전문가의 우려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는 약국 앞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