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에 다시 봄 오나…제약·의약품株 3개월새 시총 23% 늘어

HLB 시총 140% 폭증…·신약·금리인하 기대 커지며 자금 유입
내달 AACR 상승 모멘텀 될 듯…"수출 비중 높은 종목 관심 가져야"

 긴 겨울을 보낸 바이오 종목에 볕이 들고 있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성장주인 바이오 종목이 수혜를 받는 데다 신약 기대감이 곳곳에서 피어오르면서다.

 16일 한국거래소와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코스피 '의약품', 코스닥 '제약'에 속하는 54개, 120개 종목의 지난 15일 기준 시가총액은 각각 130조8천62억원, 54조2천608억원으로 집계됐다.

 3개월 전인 지난해 12월 15일 종가 기준으로 107조4천997억원, 44조756억원이었던 데서 각각 22.8%, 23.1% 늘었다.

 동아에스티(18.47%), 유한양행(15.26%), 삼성바이오로직스(18.34%) 등도 주가 상승에 따라 시총이 17∼21% 늘었다.

 코스닥 종목 중에선 간암 치료 신약 허가를 기다리고 있는 HLB가 153.15%의 주가 상승률로 시가총액도 5조6천310억원에서 13조4천억원으로 137.8% 폭증했다.

 거래소 업종 분류상 제약·의약품에 포함돼있지는 않지만 알테오젠(194.67%)의 시가총액이 3조5천100억원에서 10조8천409억원으로 208.8% 증가했다.

 레고켐바이오도 1조2천576억원에서 1조9천403억원으로 54.3% 늘었다.

 이들 종목을 담은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도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이 기간 'TIGER 코스닥150바이오테크'의 수익률은 44.27%로, 803개 ETF 중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44.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코로나19 시기 크게 올랐던 바이오주는 2021년 하반기부터 기나긴 조정기를 거쳤다.

 그러다 작년 4분기부터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금리에 대한 부담에서 조금씩 벗어나며 분위기를 살아났다.

 다음 달 5∼10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리는 'AACR(미국 암 연구 학회) 2024'는 바이오 업종 상승에 또 다른 모멘텀이 될 전망이다.

 AACR은 전 세계 120여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참가하며 암 연구와 관련된 전임상 또는 초기 단계 임상 데이터를 발표하는 학회다. 세계 3대 암 학회로 불릴 만큼 주목도가 높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신약 '렉라자', HLB의 간암치료제 '리보세라닙'도 과거 AACR을 통해 초기 연구 성과를 입증한 바 있다"며 "이번 AACR 2024에서도 국내 기업 중 글로벌 항암제 후보군이 발굴될 가능성이 있다"고 기대했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으로 바이오주의 분위기가 크게 개선된 상황"이라며 "다만 올해 상반기에는 의대 정원 확대 이슈로 인해 종합병원 매출 비중이 높은 제약사가 제한적으로 영업실적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수출 비중이 높고, 수출에서 성장 잠재력을 창출하는 종목 중심으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며 "바이오주의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이기 때문에 임상 일정과 데이터, 자금 흐름 등을 통해 선별화해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보상체계 개편…"공정성·투명성 제고"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혈액·소변검사 등과 관련해 검사기관 간의 과도한 할인 경쟁 등 부작용을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위·수탁 보상체계 개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9일 관련 의학회, 의료계 단체 등과 함께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및 질 관리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복지부는 "검체검사 위·수탁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질 관리 강화 및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상체계의 근본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검사료 분리지급과 위탁검사관리료 폐지 방안 등을 보고했다. 검체검사는 질환 진단 등을 위해 혈액, 소변, 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동네의원 등은 검체를 채취해 외부 검사기관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복지부 고시인 '검체검사 위탁에 관한 기준'에 따라 위탁한 병의원엔 위탁검사관리료가, 수탁한 검사기관엔 검사료가 건강보험에서 지급되는 게 원칙인데, 현재는 관행적으로 위탁기관이 일괄 지급받은 후 검사기관에 정산해주고 있다. 그러다 보니 검사기관이 병의원과 계약하려고 과도한 할인 경쟁을 벌이고 불공정 계약이 이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검사 질 저하 우려로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