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처방 '근골격계 치료' 1위…첩약은 '오적산' 인기

보험·비보험 약제도 근골격계 처방 최다…한약방 감기치료에 '갈근탕' 많아

 지난해 한의원·한방병원에서 가장 인기 있는 첩약은 근골격계 치료에 쓰는 '오적산', 한약방은 '갈근탕'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한약 소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한약을 소비하는 한방의료기관(한방병원, 한의원, 요양병원 등) 및 한약 조제·판매기관(약국, 한약방) 3천여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약 처방(조제)은 기관명과 보험 여부에 따라 조금씩 달랐지만, 사람들은 공통으로 근골격계통, 호흡기계통 쪽 처방을 선호했다.

 한의원과 요양병원 등도 인기 품목과 처방 분야는 같았다.

 약국과 한약방에서는 주로 호흡기계통 관련(48.3%)을 처방했고 이에 따른 처방명은 감기 치료에 주로 쓰는 '갈근탕'이었다.

 비보험 한방제제를 살펴보면, 한방병원은 근골격계통 처방이 68.4%로 가장 많았고 이에 따른 처방명은 '당귀수산'(77.6%)이 1위였다. 당귀수산은 어혈을 제거하고 부기를 빼는 한약으로 알려졌다.

 한의원과 요양병원 등에서는 근골격계통 처방이 가장 많았고 처방명은 오적산이 1위를 차지했다.

 약국과 한약방은 호흡계통(70.6%) 관련 비보험 한약 제제가 가장 많았고, 이 중에서 갈근탕(43.8%)이 주로 처방됐다.

 보험 한방제제로는 한방병원의 경우 근골격계통(66.7%), 당귀수산(72.1%)이 가장 많았다.

 한의원과 요양 병원 또한 근골격계통 질환 처방이 1위였으며 이에 따른 처방명은 오적산이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한방병원과 한의원에서는 선호하는 한약 제형은 탕제가 1위였다. 효과가 빠르고 한약재 가감이 편리하다는 이유를 꼽았다.

 요양 병원의 경우 환제를 더 선호했는데, 장기 보관에 유리한 점을 이유로 들었다.

 많이 소비된 한약재는 당귀, 숙지황 등이었다.

 기관들은 건강보험 급여 확대 시 우선 적용이 필요한 치료법으로 한방병원과 한의원은 첩약을,  요양병원 등은 한방제제를 꼽았다.

 한방병원 진료과목은 한방내과가 98.9%로 가장 많고 한방재활의학과(97.7%), 침구과(97.2%), 한방부인과(95.3%) 순이었다.

 한의원 대표자 중 전문의 자격을 가진 비율도 한방내과(68.6%)가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침구과(24.8%), 한방부인과(9.6%), 한방부인과(9.6%), 한방재활의학과(5.4%)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한의사 수는 한방병원은 4.1명, 한의원은 1.2명으로 조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의료기사 업무 범위 확대한 법 개정안에 "국민 생명 위협"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0일 의료기사의 업무 범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두고 "의사의 면허권을 침해하고 국민의 생명·안전에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개정안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의협이 반대하는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과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다.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 개정안은 현장에서 의료기사가 의사나 치과의사의 '지도' 외 '의뢰'나 '처방'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는 점을 고려해 기존의 '지도'가 아닌 '지도 또는 처방·의뢰'로 의료기사의 업무 가능 범위를 늘렸다. 현행법상 의료기사에는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이 있다. 의협은 이 개정안을 두고 "추후 의료기사가 업무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도록 업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라며 "'지도' 외 '의뢰나 처방'만으로도 의료기사가 업무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의사의 감독·책임 체계를 약화하고 무자격자의 의료행위 가능성을 열어두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의사 면허 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시도이자 의료체계 안정성을 해치는 입법 남용"이라며 "의협은 국민의 생명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