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약데이터부 진희정 박사팀이 '한증'(寒證) 관련 유전 지표가 지방을 생성하고, 이를 제거하는 과정(지방 포식)을 조절하는 생물학적 기전을 새롭게 밝혀냈다고 1일 밝혔다. 한의학에서 '한열'(寒熱)은 한증과 열증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한증은 알레르기 비염, 기능성 소화불량,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다양한 질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희정 박사팀은 대전시민 건강 한의 코호트를 구축, 유전체 역학 정보를 분석해 한증 연관 유전지표(SP1 유전자 내 2개 유전지표 포함, 총 56개)를 찾았다. 한증을 약하게 하는 유전 형질을 가진 집단은 간세포에서 지방 생성이 더 활발하고, 지방 포식 작용은 줄어든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한의학 기반 집단 추적·관찰 연구 코호트에는 시민 4천여명이 참여했다. 한증과 연관한 유전변이가 SP1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간세포 내 지방 생성 경로 활성도는 높아지고, 지방 포식작용은 줄어 지방이 쌓일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포함한 간 섬유증, 비만, 당뇨병 등 각종 대사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구팀은 "지방 생성 및 포식에 대한 한증 유전 요인의
한국한의학연구원 정미경 박사팀은 충남대 약대 박상민 교수팀과 공동으로 한약 처방 '보중익기탕'이 면역항암제(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치료제)를 도와 면역을 조절하는 원리를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보중익기탕은 인삼과 백출, 황기 등으로 구성된 처방으로 허증(虛證) 치료에 사용된다. 알레르기 질환부터 암에 이르기까지 면역조절 장애로 인한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기존 연구에서는 보중익기탕이 면역항암제의 항암 효과를 강화할 수 있음이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면역시스템 내에서 다양한 면역세포 간 상호작용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등 면역시스템 전반에 미치는 조절 기제는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보중익기탕과 함께 인삼·황기·백출·감초 등 보중익기탕을 구성하는 한약재를 T세포·B세포·NK세포·대식세포·수지상세포 등 면역세포에 처리한 뒤 리보핵산(RNA) 전사체(유전체에서 전 사되는 RNA 총체)를 분석했다. 총 180개에 달하는 세포 샘플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비교하고 각 세포에서 보중익기탕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별 면역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B세포·대식세포·수지상세포에서 면역 관련
보건복지부는 '한약 실험정보 관리 시스템'을 최근 개통해 올해 말까지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한약 실험 데이터를 한데 모아 연구자 등이 활용할 수 있게 했다. 한약재·처방 정보 등을 통한 핵심어 검색, 논문 초록 내 키워드 자동 분석, 표 데이터 추출(파일 자동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한의약 연구자, 관련 산업 종사자를 포함해 누구나 한국한의약진흥원을 통해 신청 후 이용할 수 있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 운영 기간에 사용자 의견을 수렴·반영해 개선한 한약 실험정보 관리 시스템을 내년부터 정식으로 제공한다. 정식 서비스에는 기존 기능 외에 한약재별 세부 실험정보가 더해지고, 약물의 복잡한 생물학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 알고리즘'을 통한 한약재·질병 간 관련성 정보도 추가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과 대화형 '챗봇' 서비스도 나올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