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부당노동행위로 회장까지 구속된 SPC의 민낯

대통령 영상 공직사회 보라 했다니, 끝까지 '관권선거'인가

역대 최고 총선 사전투표율, 국민은 정치 객토를 바란다

▲ 서울신문 = 막말에 집안싸움까지… 의사들 대화 의지 있나

'반도체 봄' 이어갈 국가적 투자 뒷받침돼야

사전투표 열기, 모레 본투표로 이어지길

▲ 세계일보 = 한·중·일 정상회의, '中리스크 최소화' 계기 삼아라

의대생들, 醫·政 대화는 교수 등에 맡기고 학업 복귀하길

본투표까지 열기 이어가 '혐오·증오의 정치' 몰아내야

▲ 아시아투데이 = 의료계, 의대 증원 규모 입장차부터 정리하라

선거 불신과 외부 개입 막을 대책 시급하다

▲ 조선일보 = 탈원전 폐기하자 2년 연속 온실가스 배출량 줄었다

4년여 만의 한중일 정상회의, 글로벌 정세 안정에도 긴요

사전 투표율 역대 최고, 선거 수준은 사상 최저

▲ 중앙일보 = 지금 의료계에 필요한 건 막말이 아니라 합리적 대안이다

기업 뛰게 해야 할 판에 뒷다리 잡는 공약이 웬 말

▲ 한겨레 = 윤석열 대통령, 중국과 '최소한의 균형'이라도 잡아야

거친 언사로 전공의 보호에만 열중하는 의대 교수들

사상 최고 사전투표율, 투표 참여만이 바꿀 수 있다

▲ 한국일보 = 내부 분열 의료계, 의정협의체 외면하고 답 있겠나

독자제재에 한국대사 초치한 러시아… 상황 악화 말아야

"대파투표" "여배우 사진"… 투표소는 선전장이 아니다

▲ 글로벌이코노믹 = 사상 최고치 이어가는 황금시대

'반도체의 봄' 삼성전자 1분기 흑자

▲ 대한경제 = 의대 수업 재개 움직임, 의료대란 푸는 실마리 기대한다

총선 최고 사전투표율, 국가미래 걸린 본선거로 이어져야

▲ 디지털타임스 = 새마을금고 합동 감사, 사기·편법대출 막을 근원책 마련해야

역대 최고 총선 사전투표율… 민심 뿔났다는 방증이다

▲ 매일경제 = 4년만의 한중일 정상회의 … 실권없는 총리대신 시진핑 참석을

온실가스 배출 2년 연속 감소, 탈원전 폐기 옳았다

사전투표율 역대 최고 … 부적격 후보 심판 본투표로 이어져야

▲ 브릿지경제 = '기준금리 인하' 되든 안 되든 불안 요인 대처해야

▲ 서울경제 = '자중지란' 의사들, 공멸 피하려면 단일안 도출해 대화 재개해야

정책 실종되고 "대파" "법카" 설전만…정서적 양극화 벗어날 때다

'반도체 훈풍'에만 기대지 말고 신성장동력 키워 수출 기반 넓혀라

▲ 이데일리 = 다시 열린 K반도체의 봄, 전방위 지원 미룰 때 아니다

무책임한 의료계 뻗대기, 이젠 목소리도 제각각인가

▲ 이투데이 = "달 둥근 게 손가락 탓"이냐는 항변, 일리 있다

▲ 전자신문 = 4·10 총선, 유권자 냉엄한 선택을

▲ 파이낸셜뉴스 = 내수 살리려면 재정 의존보단 규제 과감히 풀라

역대 최고 총선 사전투표율, 본투표로 이어 가자

▲ 한국경제 = 22대 국회에선 첨단산업 발목 잡는 의원 입법 사라져야

실손보험 적절히 통제해야 필수의료 살아난다

발암·유해물질 범벅이라는 알리·테무 제품들

▲ 경북신문 = 사전 투표율이 높은 이유… 엇갈린 여야 반응

▲ 경북일보 = 사전투표 저조 TK…본투표 최고투표율 심판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