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폐기물 발생량 2년 새 18%↑…소각장 신설은 '삐걱'

대부분 소각 처리…지역주민 "우리동네 건립 결사반대" 갈등

  의료폐기물 발생량이 2년 새 18% 가까이 증가했으나 이를 처리할 소각장 신설은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주민의 반대에 부딪히며 난항을 겪고 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등에 따르면 전국 환경폐기물 연간 발생량은 2022년 22만9천503t으로 2020년 19만5천351t보다 17.5% 늘었다.

 의료폐기물은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의 적출물, 실험동물의 사체와 같이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폐기물을 말한다.

 2022년 기준 일반의료폐기물이 가장 많은 61.5%를 차지했고 격리의료폐기물 13.3%, 혈액오염폐기물 8.0%, 병리계폐기물 7.0%, 조직물류폐기물 4.2%, 생물화학폐기물 3.2% 등 순이었다.

 위탁처리하는 의료폐기물 22만3천872t 중 22만3천847t은 소각했고 나머지 25t은 재활용했다. 자가처리할 경우에는 멸균분쇄가 30.9%로 가장 많았다.

 결국 전체 의료폐기물의 97.5%를 소각하는 방식으로 처리한 것이다.

 문제는 빠르게 늘어나는 의료폐기물을 소각할 시설이 불충분하다는 점이다. 의료폐기물은 전용 용기에 담아 전용 소각시설에서 처리해야 하지만, 전국 소각장은 13곳에 불과하다.

 의료폐기물 위탁업체 등에서 소각장을 추가로 건립하려는 시도가 있긴 하나 지자체와 지역주민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추진이 쉽지 않다. 환경오염과 건강, 안전에 대한 우려,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들여오는 것에 대한 거부감 등 때문이다.

 경기 포천시는 지역 내 의료폐기물 소각업체가 한강유역환경청에 소각시설 증설 등의 내용을 담은 '폐기물처리업 변경 허가 신청서'를 제출한 것과 관련해 지난달 22일 수용 불가 의견을 냈다.

 부산 기장군 역시 의료폐기물 소각업체가 기장군 정관읍 예림리에 소각장을 신설하기 위해 사업계획서를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제출하자 지난달 9일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내놓았다.

 경기 안성시 양성면에서는 소각장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결의대회가 지난 16일 열렸다.

 양성면에 소각장을 건립하고자 민간업체가 한강유역환경청에 제출한 사업계획이 세 차례 반려됐는데도 지난해 8월 다시 사업 신청서를 낸 데 따른 움직임이다.

 양성면 의료폐기물 소각장 건립 반대대책위원회는 "양성면은 아름다운 자연환경으로 많은 사람이 전원생활을 하는 곳이자 과수나 시설채소 재배를 주로 하는 복합영농 지역"이라며 "주민의 건강권과 행복추구권을 지키기 위해 의료폐기물 소각장 건립을 결사반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누가 우리 몸의 주인인가? 우리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이 질문은 지구상 생명체 중 누가 주인인가 하는 질문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인간이 이 세상의 영장이고 주인이라고 주저 없이 대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세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세균이 과연 건강의 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다. 많은 사람이 세균을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인간이 세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을까? 절대로 못 한다. 인간의 피부에만 약 1조 마리, 소화기관에는 무려 100조∼400조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인간의 세포 수보다 많은 세균을 어떻게 박멸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이 산소다. 인간이 호흡하기에 적당한 산소의 농도, 즉 지구상의 산소 농도를 21%로 맞춰준 존재가 바로 세균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균은 온갖 생명체의 시조이자 지구상에서 수십억 년을 살아온 원주(原主) 생물이며, 지구의 주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까 세균은 우리의 적이 아니고 우리가 신세를 지고 있는 소중한 생명체다. 이외에도 세균은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유하자면 세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