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암행감사 '선택과 집중'…대상 줄었지만 위반율은 상승

  이른바 '제약바이오업계 암행어사'로 불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무통보 특별기획감시가 대상이 줄어드는 대신 위반율은 높아지고 있어 제약바이오 업체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사전 통보 없이 불시에 이뤄지는 특별기획감시가 대상을 줄이는 대신 더 꼼꼼히 들여다보는 '선택과 집중'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처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식약처는 제조소의 위험도 평가 결과와 실사(점검), 처분, 회수 이력 등을 종합해 제조소별 중점 점검 사항을 설정한 뒤 점검 결과 고의적, 비도덕적 자료 조작 등 행위가 발견되면 제조·판매 업무 정지, 과징금 부과 등 행정 처분을 하고 반복적 제조기록 허위 기재 등 중대한 위반사항이 적발되는 경우 '원스트라이크 아웃제'(One Strike-Out)를 적용해 GMP 적합 판정을 취소한다.

 식약처는 올해는 작년보다 3곳 줄어든 25곳을 목표로 삼고 있다.

 특별기획감시 대상이 매년 줄어들고 있지만 제약바이오 업체들은 더 긴장하는 분위기다.

 작년 위반율이 오히려 상승했기 때문이다.

 작년 위반 사항이 적발된 제조소는 18곳으로 위반율 64.3%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61.2%보다 3.1%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불시 점검 대상으로 선정된 제조소 5곳 중 3곳 이상이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작년 수준의 위반율을 기록할 경우 올해 위반 제조소가 16곳가량 될 것으로 관측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불시 점검 대상이 줄어드는 대신 대상에 선정되면 처벌받을 위험은 더 높아지는 것 같다"며 "언제 어떻게 진행될지 모르는 특별기획감시가 최근 일부 제약사를 상대로 진행됐다는 얘기가 들리고 있어 문제 될 사항이 많은 제약사들이 불안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