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중환자 돌보는 전문의↑…산모고령화에 저체중·조산아↑

건강보험심평원, 신생아 중환자실 3차 평가결과 공개
전체 86곳 중 64곳이 1등급…40%가 서울에 몰려
"저체중·조산아 출생 늘어 신생아 중환자실 의료 질 관리해야"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에서 신생아 중환자실 전담 전문의가 최근 2년 사이 80명 넘게 늘어났다.

 산모 고령화에 저체중아와 조산아의 출생이 늘어 신생아 중환자실의 의료 질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최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3차 신생아 중환자실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지표가 바뀜에 따라 2차 평가와 모든 항목을 직접 비교할 수 없지만, 신생아 중환자실 인력은 비교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전담 전문의 1인당 신생아 중환자실 병상수는 평균 8.48병상으로, 2차 때(10.66병상)보다 2.18병상 감소했다.

 전문의 1명이 돌봐야 하는 병상이 줄었다는 뜻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심평원 관계자는 "평가 대상이 조금 바뀌었지만, 전체적으로 10병상이 줄고 전문의는 83명 늘었다"며 "병상 감소와 전문의 증가로 관련 지표가 개선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간호사 1인당 신생아 중환자실 병상도 평균 0.75병상으로, 2차(0.78병상) 대비 0.03병상 줄었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율'은 2차에서 상급종합병원이 100% 달성해 3차에는 종합병원만 평가했고, 평균 98.0%로 2차(97.9%)보다 향상됐다.

 3차 평가 때 새로 추가된 필수진료 협력과목(소아외과·소아심장)의 경우 두 과목 모두 보유한 병원은 26곳(30.2%)이었고, 둘 다 없는 곳은 24곳(27.9%)이었다.

 최소 병상수(10병상)를 충족하지 못한 병원은 10곳(11.6%) 있었다.

 3차 평가에서 전체 종합 평균 점수는 90.71점이었다. 상급종합병원이 92.32점, 종합병원이 89.02점이다.

 종합점수에 따라 1∼5등급으로 나눈 결과, 1등급은 64곳(상급종합병원 37곳, 종합병원 27곳)이었다.

 1등급 기관 64곳 중 40%에 달하는 25곳이 서울에 몰려있었고, 제주(1곳), 전라권, 강원권(이상 2곳) 순으로 적었다.

 이번 평가에서 '48시간 이내 신생아 중환자실 재입실률'은 평균 0.06%로, 2차(0.1%)보다 0.04%포인트 낮아졌다. 다시 입원하는 사례가 줄었다는 것은 그만큼 의료 서비스가 개선됐다는 뜻이다.

 집중 영양 치료팀 운영 비율은 2차(92.6%)보다 2.1%포인트 오른 평균 94.7%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이번 평가에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신생아는 남아가 55.5%, 여아가 44.5%였다.

 분만 형태별로는 자연 분만이 25.7%, 제왕절개 분만이 74.3%였다.

 또 다태아(쌍태아 이상)가 21.1%, 단태아가 78.9%였다.

 출생체중은 정상 체중아(2천500g 이상 4천g 미만)가 57.8%, 저체중아(2,500g 미만)가 40.1%였다.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조산아(이른둥이)는 47.8%였고, 이 가운데 28주 미만 조산아는 2.9%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조산아는 그 비율이 2020년 8.5%에서 2022년 9.7%로 올랐다.

 특히 출생 후 1년 내 사망률(영아 사망)은 출생아 1천명당 2.3명으로, 신생아 중환자실의 진료환경 개선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미주 심평원 평가운영실장은 "산모의 고령화와 인공수정 등의 영향으로 저체중아와 조산아 출생이 늘고 있어 신생아 중환자실 의료 질을 지속해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고 묻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보건의료기본법 일부개정안의)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질문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한국서도 말차 열풍…"말차 음료 판매량 30% 증가"
전 세계에서 말차의 인기가 뜨겁다. 국내에서도 말차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음료, 디저트에서 막걸리까지 말차를 넣은 제품이 쏟아지고 있다. 스타벅스 코리아는 올해 상반기 '제주 말차 라떼'와 '제주 말차 크림 프라푸치노'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늘었다고 28일 밝혔다. 이 회사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말차 열풍이 불고 있다"면서 "즐겁게 건강을 챙기는 '헬시플레저' 트렌드 속에 연예인을 따라 하는 모방 소비로 특히 젊은층에서 말차가 인기"라고 말했다. 스타벅스에서 말차 음료는 제주 지역이나 일부 특화 매장에서만 판매하는 제품을 포함해 9종으로 늘었다. 녹차 제품은 한 종뿐인 것과 대조적이다. 투썸플레이스도 지난 달 출시한 말차 음료 세 종이 2주 만에 누적 판매량 50만 잔을 넘었다. 투썸플레이스는 케이크 '떠먹는 아박'에 말차를 가미한 '떠먹는 말차 아박'도 내놨다. 세계적인 말차 열풍을 일으킨 것은 스타들이다. 블랙핑크 제니는 유튜브에서 "요즘 커피 대신 이걸 마시곤 한다"면서 아이스 말차를 만들었다. 가수 두아 리파, 배우 젠데이아 등 해외 스타들도 소셜미디어에서 말차를 마시는 모습을 보여줬다. 인스타그램에서 '#말차' 해시태그

메디칼산업

더보기
음지 갇혔던 문신사 '불법' 딱지 뗄까…문신사법 복지위 통과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허용하는 '문신사법'이 지난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문신사법은 '문신사'라는 직업을 신설하고 그 자격과 관련 시험에 관한 절차 등을 규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문신사 자격이 있어야 문신업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고 매년 위생·안전관리 교육을 받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은 1992년 문신 시술을 '의료행위'로 판단한 대법원 판결 이후 의료법 위반으로 처벌받아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신 시술이 의료보다는 심미적 목적에 따른 것이고, 실제 시술자도 거의 의료인이 아닌 점 등을 들어 법과 현실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문신 행위에 대한 관리·감독의 법적 근거가 없는 탓에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경우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 역시 문제로 꼽혀 왔다. 문신사법은 2013년 제정안 발의 후 19∼21대 국회에서 관련 법안이 계속 제출됐으나 결실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문신사법을 처리하겠다는 현 여당의 강한 의지를 바탕으로 여야 발의안을 병합 심사한 대안이 지난 20일 복지위 법안심사소위를, 이날은 복지위 전체회의를 통과하며 입법 가능성이 커졌다. 법안을 대표 발의한 더불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