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수출, 코로나 요인 빼면 연평균 8.4% 성장"

코트라 , 레이저 기기·초음파 영상진단기·임플란트 등 수출 주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4일 펴낸 '엔데믹 시대, 의료기기 전략 품목과 시장 분석' 보고서에서 한국의 의료기기 수출이 실질적으로 8%대의 비교적 강한 성장세를 보인다고 분석하면서 집중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코트라는 한국의 의료기기 산업 수출이 표면적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1년에 사상 최고치인 92억2천만달러를 기록했다가 작년 57억9천만달러에 그치며 약 37% 감소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일시적 수요가 급증했던 코로나19 진단 키트에 따른 착시 효과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2020년과 2021년에 팬데믹 특수를 입었던 체외 진단 기기의 수출이 급증했다"며 "체외 진단 기기를 제외한 의료기기 수출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36억달러에서 2023년 50억달러로 꾸준히 늘어 연평균 성장률 8.4%를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수출 비중은 15%에서 11%로 줄었고, 브라질, 러시아, 인도 등 신흥국 시장이 이를 점차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보고서는 10대 의료기기 수출 주도 품목 중 9개 품목에서 중소·중견기업 비중이 80%를 넘었다면서 신성장 산업으로 의료기기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지형 코트라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의료기기는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분야로 성장 속도도 빠르다"며 "수출 주력 품목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수출 지원 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체온 반응해 항원 방출' 신개념 나노입자 결핵백신 효과 입증"
질병관리청은 신개념 입자인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결핵 백신이 기존 백신(BCG)보다 더 나은 예방 효과를 보였다고 4일 밝혔다.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란 상온에서는 입자 형태를 유지하고 체온에서는 그 형태를 변화해 항원(면역 반응을 유도해 항체를 형성하게 하는 물질)을 천천히 방출시키는 입자다. 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과 이 기술을 보유한 한국세라믹기술원의 공동 연구진은 결핵의 대표 항원인 Ag85B를 정제한 후 온도반응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전달체에 전기적 반응을 이용해 탑재했다. 이후 연구진이 세포실험을 수행한 결과 나노입자 백신은 장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며 세포 내에서 체온에 맞춰 점진적으로 항원을 방출했다. 또한 독성 반응 없이 세포 생존율이 유지됐으며, 기존 백신보다 더 효과적으로 면역 세포(항원제시세포)에 항원을 전달했다. 연구진은 영유아 대상 백신으로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 나노입자 백신을 쥐에게 접종했다. 또 이미 어린이 대상 기존 결핵 백신인 BCG를 접종한 청소년·성인에게도 추가 효과가 있는지 보기 위해 BCG를 맞은지 6주가 지난 쥐에게도 나노입자 백신을 주입했다. 이후 이 그룹들을 BCG 백신 또는 항원 자체만을 접종한 쥐 그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