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서울 병원·약국 1천800곳 문연다…비상진료 풀가동

설 1.5배 확대하고 25개 보건소·7개 시립병원 응급진료반 구성…71억 긴급지원
오세훈, 고대 안암병원서 의료체계 점검…총력 대응 속 "의료공백 최소화" 당부

 서울시는이번 추석 연휴(9.14∼18)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1천800여곳을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또 25개 보건소와 7개 시립병원은 응급진료반을 구성해 운영하는 등 비상진료대책을 '풀가동'한다.

 시는 우선 연휴 기간 경증환자들이 더 쉽게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수를 대폭 확대한다.

 추석 연휴 5일간 문을 여는 병의원은 500개, 약국은 1천300여개로 총 1천800여곳을 지정·운영한다.

 이번 조치로 응급실 과부하를 해소하고 시민들은 원활한 진료를 받게 될 것으로 시는 전망했다.

 문 여는 병의원, 약국은 서울시 추석 연휴 종합정보 홈페이지(www.seoul.go.kr/story/newyearsday), 25개 자치구 홈페이지와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5개 자치구 보건소와 7개 시립병원은 경증환자를 위한 응급진료반을 운영한다.

 보건소는 연휴 기간 중 3일 이상 내과 및 가정의학과 진료를 제공한다.

 특히 17일 추석 당일에는 모든 보건소가 운영한다.

 7개 시립병원은 16일부터 18일까지 각기 다른 진료과목으로 외래 진료를 실시할 예정이다.

 시는 또 응급의료대응 여력을 강화하기 위해 71억원을 긴급 지원한다.

 지원금은 응급의료진 확보를 위한 응급실 전담의사 수당 지원, 응급실에서 연계된 환자의 수술 및 중환자실 운영 등 배후진료 강화 등에 활용된다.

 7개 권역응급의료센터와 24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각각 11억2천만원과 28억8천만원이 배정된다. 또 배후진료 운영비로 31억원이 지원된다.

 아울러 서울 시내 응급의료기관과 종합병원 응급실은 추석 연휴에도 평소처럼 24시간 운영한다.

 응급의료기관은 서울대학교병원 등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31곳, 서울시 서남병원 등 지역응급의료기관 18곳, 응급실 운영병원 20곳 등 총 69곳이 운영된다.

 한편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오후 고대 안암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해 응급의료체계 운영현황을 점검했다.

 오 시장은 의료진과 면담에서 "응급실 의료진의 피로 누적이 심각한 상황으로, 경증환자 분산, 동네 병의원 정상운영 등 여러 가지 대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우선 서울시 재원 71억원을 투입하고 정부와도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한 긴급상황 대응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용한 자원을 동원해 응급의료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의료 현장에서도 명절 연휴 공백이 없도록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누가 우리 몸의 주인인가? 우리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이 질문은 지구상 생명체 중 누가 주인인가 하는 질문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인간이 이 세상의 영장이고 주인이라고 주저 없이 대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세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세균이 과연 건강의 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다. 많은 사람이 세균을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인간이 세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을까? 절대로 못 한다. 인간의 피부에만 약 1조 마리, 소화기관에는 무려 100조∼400조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인간의 세포 수보다 많은 세균을 어떻게 박멸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이 산소다. 인간이 호흡하기에 적당한 산소의 농도, 즉 지구상의 산소 농도를 21%로 맞춰준 존재가 바로 세균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균은 온갖 생명체의 시조이자 지구상에서 수십억 년을 살아온 원주(原主) 생물이며, 지구의 주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까 세균은 우리의 적이 아니고 우리가 신세를 지고 있는 소중한 생명체다. 이외에도 세균은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유하자면 세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