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자동결 시술 70%는 30대…미혼여성 절반 "시술 고려했다"

서울시, 난자동결 시술비 527명 지원…올해 지원규모 늘려 800명 예상

 올해 서울시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사업 참여자 가운데 약 70%는 30대였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으로 난자동결 시술을 마치고 시의 지원금을 받은 이는 총 527명이다.

 이 가운데 30대가 360명(68.3%)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40대 105명(19.9%), 20대 62명(11.8%)이었다.

 난자동결 시술을 받은 뒤 지원금을 신청하면 시가 시술 비용의 50%(최대 200만원)를 평생 한 번 지원하는 방식이다.

 시술을 위한 사전 검사비나 난자 보관료는 지원에서 제외된다.

 20대는 난소기능 검사(AMH) 결과 3.5.ng/mL 이하거나 관련 의사 소견서를 첨부해야 하며 30∼40대는 별도의 기준 없이 신청할 수 있다.

 시가 시술비 지원사업 참여자 특성에 대한 분석을 마친 지난 5월 말을 기준으로 보면, 총 355명이 지원받았으며 이 가운데 AMH 결과가 3.5.ng/mL 이하거나 의사 소견서를 낸 경우는 78.3%였다.

 3.5.ng/mL 초과는 21.7%였다.

 난자동결 시술을 받은 여성 가운데 난소기능에는 전혀 문제가 없지만 임신과 출산 시기를 조절하기 위해 지금의 난자를 동결한 사례가 10명 중 2명은 되는 셈이다.

 이 355명의 평균 지원 금액은 169만원이다.

 한편, 결혼하지 않은 여성의 절반은 한 번쯤은 난자동결 시술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4월 11∼18일 서울시에 거주하는 20∼49세의 법률혼을 하지 않은 여성 800명을 대상으로 면접·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미 시술받은 10명을 제외한 790명 가운데 51.4%는 시술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실제로 병원 상담을 받았거나 검색을 하는 등 정보를 탐색한 비율은 4.3%였다.

 44.3%는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난자동결을 생각해본 이유를 복수 응답 방식으로 받은 결과 '학업과 경력의 이유를 포함해 늦은 출산을 대비' 44.8%, '현재 출산계획은 없지만 향후 생각이 바뀔 수 있기 때문' 26.8%, '어린 나이에 난자를 보관하기를 원함' 24.6% 등의 순이었다.

 난자동결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는 임신·출산할 생각이 없어서 46.9%(이하 복수응답), 시술받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31.8%, 시술받는 게 두려워서 11.1%였다.

 난자동결 시술을 이미 받은 10명 가운데 6명은 늦은 출산을 대비해 시술받았다고 했고, 산부인과 권유로 2명, 출산계획은 없지만 향후 생각이 바뀔까 봐 선택한 사람도 1명 있었다.

 서울시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술했다는 경우는 1명 있었다.

 시는 당초 올해 650명 시술비를 지원할 수 있는 만큼의 예산을 편성했지만 2030 미혼 여성을 중심으로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관심이 많아 지원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미집행된 예산 등을 끌어와 지원 규모를 확대했다"며 "올해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 규모는 800명가량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마약성 진통제 시대 개막…비보존, 국산신약 어나프라주 출시
비보존제약이 제38호 국산신약으로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를 국내 출시했다. 비보존제약은 지난 10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어나프라주의 본격적인 출시를 기념하기 위한 출정식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캘리그라피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장부환 비보존제약 대표이사의 환영사, 개발자인 이두현 비보존그룹 회장의 감사 인사, 신약 비전 선포식, 어나프라주 출정식 순서로 진행됐다. 어나프라주는 수술 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에 사용하는 비마약성 진통 주사제로,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 마약성 진통제의 오·남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며 어나프라주는 부작용이 적은 통증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전영태 대한마취통증의학회장은 축사를 통해 "마약성 진통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통제가 절실한 상황에 어나프라주의 국내 출시는 매우 반가운 일"이라며 "학회도 앞으로 어나프라주가 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개발은 수많은 글로벌 빅파마들조차도 넘기 어려운 도전 과제로 여겨졌으나 비보존제약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