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혈모세포 기증희망자 매년 1천600명이지만 지원 예산 모자라"

복지부 "매년 1만5천명 검사비 지원…남은 인원은 다음 해로 넘겨"

  '어머니 세포'라는 뜻의 조혈모(造血母)세포를 기증하려는 사람이 매년 1천600여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예산 부족으로 정부 지원이 이런 기증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소병훈 의원이 최근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조혈모세포 기증 희망자는 2015∼2023년 조혈모세포 기증 희망자는 연평균 1만6천829명이다.

 기증 희망자는 2015년 1만8천910명에서 지난해 1만5천475명으로 줄었지만, 대체로 매년 1만6천명 수준을 유지하는 셈이다.

 따라서 타인의 건강한 조혈모세포를 이식받아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혈액세포를 만들어 냄으로써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골수기증 희망자 검사비 지원사업을 통해 이식을 지원하고 있지만, 실제 지원은 매년 기증 희망자 수요에 못 미친다.

 소병훈 의원은 "복지부가 기증 희망자에게 조직적합성 항원(HLA) 검사비를 지원하고 있으나 매년 1만5천명에 머무르는 실정"이라며 "기증 희망자 수요에 예산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매해 1만5천명을 지원하고 있는데, 기증 희망자 중 지원받지 못한 사람이 있으면 다음 해로 넘겨서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6월 현재 누적 기증 희망자는 모두 42만2천93명이다.

 실제 이식은 2018년부터 매년 약 1천400건 시행됐고, 이 가운데 혈연관계 이식(61.5%) 비중이 컸다.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의 승인 없이 부모 동의로 혈연관계에 있는 대상자에게 조혈모세포를 이식할 수 있는 16세 미만 미성년자의 이식은 2019∼2023년 총 262건 이뤄졌다.

 연령별로는 15세의 이식(42건)이 가장 많았고, 14세 33건, 12세 25건 등 대체로 연령이 높을수록 기증 사례도 많았다. 0∼6세 영유아의 기증은 5년간 53건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자 기부했다가 생물학적 자녀가 50명…"일주일에 한명씩 새로 연락와"
난임부부를 도우려고 정자를 기증했다가 의료기관의 규칙 위반으로 생물학적 자녀를 50명이나 두게 된 사례가 나타났다. 주인공인 이 네덜란드 남성은 자국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거의 매주 '새 자녀'의 연락을 받고 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최근 일요판 선데이타임스에 정자를 기증했다가 상상하지 못한 현실을 마주한 네덜란드 남성 니코 카위트(63)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평생을 독신으로 살아 온 카위트는 30대 후반이었던 1998∼2000년 네덜란드 난임병원에 정자를 50여회 기증했다. 난임부부가 증가하던 시기였기에 다른 가족을 돕는다는 취지로 기증했고, 일부 정자는 과학 연구와 배아 기증에도 쓰였다. 독실한 기독교인인 카위트는 생명을 위해 기부했다면서 "다만 (기증된 정자로 아이를 낳은) 부모들이 그 사실이 알려지길 원하지 않았고, 자신들의 아이로 키우고 싶어 했기 때문에 모든 것이 조용히 진행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10년 전인 2004년에 병원으로부터 자신이 생물학적 자녀를 30여명이나 뒀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듣게 됐다. 이는 단일 기증자를 통해 태어날 수 있는 아이의 수를 25명으로 제한하고 있는 네덜란드 규칙을 위반한 것이다. 카위트는 병원들이 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폭우 침수 심각 지역, 외상·만성 호흡기질환 병원 이용 급증
기후 변화로 장마와 태풍 등에 따른 폭우 피해가 갈수록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침수가 심각했던 서울 지역 주민들의 외상이나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병원 이용이 비침수 지역보다 크게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충남대 의과대학 한창우 교수팀은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연구개발실과 함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침수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의료 이용 변화를 분석했다.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침수흔적도를 바탕으로 2022년 8월 8∼9일 기록적인 폭우 후 침수 피해가 컸던 영등포·동작·관악·서초구를 세부 지역별로 심각 침수 지역, 경미 침수 지역, 비침수 지역으로 구분했다. 이후 각 지역 주민의 거주지 침수 전후 의료 이용 정보를 일반화 합성대조군 분석법으로 비교해 갑작스러운 폭우에 따른 홍수가 의료 이용에 미친 영향을 평가했다. 그 결과, 폭우 후 2주간 심각 침수 지역 주민들의 외상으로 인한 병원 이용이 비침수 지역보다 평균 56.2건,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병원 방문 역시 평균 14.1건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한 의료서비스 이용은 평균 5.3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재난 상황에서 주민들이 갑작스럽게 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