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의료대란 1년…기자간담회에서 구호 외치는 병원 노동자들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208/art_17398518646848_b0673d.jpg)
병원 노동자들은 의정 갈등에 따른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환자와 노동자 고통이 가중됐다며 인력 충원과 제도 개선 등을 요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와 시민건강연구소는 1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12월 3개 수련병원 노동자 총 848명(의사·관리자 제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829명이 응답한 첫 번째 설문에서 응답자의 32.4%는 전공의 사직 이후 병원에서 근접 오류를 포함한 환자 안전사고가 증가했는지 묻는 항목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보통'은 45.1%, '부동의'는 22.4%였다. 근접 오류란 환자에게 위해를 끼칠 수 있었지만 사고 발생 전 발견된 경우를 말한다.
69.7%는 '간호사 업무 범위를 벗어난 추가 업무가 증가했다'고 답했고, 59.7%는 이런 범위 외 업무 수행에 대해 우려했다.
수술 보조 등 진료지원 전담간호사(78명)의 42.9%는 '일방적 부서 배치·발령으로 비자발적으로 진료지원 업무를 맡았다'고 답했다. 이 중 10.3%는 임상 경력이 3년 미만이었다.
'배치 전 교육을 받지 못했다'고 응답한 전담간호사 비율은 이론 교육은 35.9%, 술기(간호행위)는 46.7%였다.
58.7%는 업무와 관련된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응답자 830명 중 30.8%는 '무급휴가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평균 사용일수는 7.3일이었다. 31.0%는 '무급휴가 및 연차 사용·임금 동결 등으로 실질 임금 감소가 우려된다'고 답했다.
전공의 사직이 병원 노동자의 건강에 미친 영향을 묻는 설문에서 응답자 816명 중 38.1%가 '새로운 건강 문제가 발생하거나 악화된 건강 문제가 있다'고 했다.
구체적인 건강 문제로는 근골격계 질환(23.0%), 수면장애(22.2%), 위장관질환(11.2%) 등이 꼽혔다.
참석자들은 간담회에서 "병원이 간호사를 이틀 교육하고 투입하며 간호사들끼리 오더(지시)를 내고 처치한다", "29주 조산 위험 임신부가 신생아 중환자실 병상 부족으로 인해 헬기로 긴급 전원됐다", "지역 응급환자 79%가 타 지역으로 이송됐다"고 현장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의료연대본부는 "정치 실패와 의사 집단사직으로 병원의 비정상적인 환경과 모순이 드러났다"며 "전공의가 빠진 자리를 무엇으로 대체할 것인가에서 끝나지 말고 한국 의료의 문제를 근본부터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공병원을 확충하고 공공·지역의사를 양성하면서 적정한 보건의료인력 기준을 마련해 인력을 충원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