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게릭병 원인 단백질 응집 막는 나노소재 개발

기초지원硏 등 "세포·동물모델에서 그래핀 양자점의 치료 효과 확인"

 한국기초과학연구원(이하 기초지원연)은 근위축성 측색경화증(일명 루게릭병)의 원인 단백질인 'TDP-43'의 응집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나노소재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루게릭병은 운동신경 세포의 파괴로 인한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신경세포 내 TDP-43이 비정상적으로 응집돼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초지원연 이영호 박사팀은 동아대 의대 홍영빈 교수팀, 한국뇌연구원 남민엽 박사 연구팀, 서울대 홍병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그래핀 양자점(Quantum Dot·수 나노미터 크기 반도체 입자)이 TDP-43 단백질의 단백질 응집체 형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을 확인했다.

 실험을 통해 생체 적합성이 높고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그래핀 양자점이 TDP-43 단백질과 직접 상호작용해 단백질 응집을 막고, 신경세포에서 TDP-43 관련 독성을 줄이며 세포 생존율을 높이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와 함께 세포 내 액액상분리(LLPS·단백질이 농도에 따라 상이 분리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응축체가 만들어짐) 현상을 제어함으로써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낸다는 것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루게릭병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 단백질인 'FUS' 등에 대해서도 그래핀 양자점이 신경 보호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 신경 보호나 항염증 효과에 중점을 둔 치료제와 달리 단백질 응집을 직접적으로 타깃으로 하는 치료 기술로, 루게릭병뿐만 아니라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영빈 교수는 "다양한 세포·동물모델에서 그래핀 양자점의 치료 효과를 검증했다"며 "앞으로 전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 검증을 거쳐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지난 4일 자에 실렸다.

연구성과가 실린 ACS 나노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사직 전공의들 "정부, '입영 대기' 철회하고, 입대 허용해야"
정부의 훈령 개정에 따라 입영 시기가 미뤄진 군 미필 사직 전공의들은 정부가 입맛대로 법을 바꾼다면서 "원래 의무사관후보생 서약서에 서명한 대로 입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 미필 사직 전공의 100여 명은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인근에서 항의 집회를 열고 이렇게 밝혔다. 이들을 대표해 마이크를 잡은 사직 전공의 송하윤 씨는 "정부는 젊은 전공의들을 마음대로 부려 먹기 위해 법을 이용해 왔다"며 "사직하면 바로 군대에 가야 한다는 서류에 서명하게 만들더니 이제는 사직해도 바로 군대에 가지 못하게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국방부는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공보의)로 선발되지 못하고 입영 대기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을 '현역 미선발자'로 분류해 관리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의무·수의 장교의 선발 및 입영 등에 관한 훈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국방부는 매년 의무사관후보생 중 600∼700명을 군의관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200∼300명을 보충역으로 편입해 지역 의료기관에서 공보의로 근무하게 한다. 연간 병역의무를 이행하는 의무사관후보생은 통상 1천명 남짓이지만, 초유의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로 올해 입영대상자는 3배 이상으로 늘어나 이들에 대해서는 앞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