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기 독감 2차 유행 우려…"지금이라도 백신 접종해야"

수두·백일해 등도 학령기 아동에 흔해…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최근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한풀 꺾였지만, 새 학기에는 학령기 소아·청소년에게서 2차 유행이 나타날 수 있다며 지금이라도 독감 백신을 접종해달라고 방역당국이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27일 대국민 브리핑을 통해 새 학기 집단생활을 하는 학령기 아동을 중심으로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백일해 등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감염병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안내했다.

 대개 호흡기 감염병은 실내에서 함께 생활하는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유행해 학기 중 환자가 늘어났다가 방학 기간 감소하는 특성을 보인다.

 실제 독감 환자 수는 최근 빠른 속도로 줄고 있으나 여전히 소아·청소년 환자가 많아 해당 연령대의 주의가 요구된다.

 올해 7주차(2월 9∼15일) 외래환자 1천명당 독감 의심환자 수는 11.6명으로, 1월 첫째 주 정점(99.8명)을 찍은 후 6주 연속 감소했다. 단 7∼18세 소아·청소년 환자가 1천명당 24.2명에 달한다.

[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피부에 물집이 생기는 수두, 볼거리로 알려진 유행성이하선염, 백일해 등도 학령기 소아·청소년이 주의해야 할 감염병이다.

 지난해 기준 수두 환자의 68.3%, 유행성이하선염의 44.5%가 학령기 소아·청소년이었다.

 이중 수두는 전파력이 커 학령기 소아·청소년에게 집단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조심해야 한다.

 백일해 역시 지난해 환자의 86.6%가 학령기 소아·청소년이었고, 백일해의 경우 방학 직전까지 환 자 수가 증가하다가 방학을 계기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기도 했다.

 질병청은 인플루엔자, 백일해, 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등의 경우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무료로 백신을 맞을 수 있으므로 적기에 접종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독감 백신의 경우 매년 새롭게 맞아야 하는데, 이번 절기에는 생후 6개월∼13세(2011년 1월 1일∼2024년 8월 31일 출생자)를 대상으로 올해 4월 30일까지 접종을 지원하고 있다.

 무엇보다 일상생활에서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하다. 사람이 많은 실내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도 좋다.

 학교 교실에서는 하루 3회 이상 창문을 여는 등 주기적으로 실내 환기를 하고, 감염 의심 증상이 있다면 등교를 자제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이밖에 질병청은 개학과 함께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3월부터 소아·청소년의 교통사고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등하교 시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꽃가루와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 질환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