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인형' 찌르고 태우며 화풀이…"아이들 정서에 악영향"

'스트레스 해소' 내걸고 온라인 쇼핑몰서 유통

 "내 인생에 피해를 준 그X, 더는 참지 않는다."

 "학교에서, 직장에서 싫은 사람이 있다면 저주를 내려 스트레스를 푸세요."

 국내 다수 온라인 쇼핑몰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저주인형'에 붙은 설명이다.

 10일 온라인 쇼핑몰 판매란에는 저주인형의 사용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다.

 한 상품의 설명란을 보면 저주 대상의 이름을 부적에 적고 인형의 '혈자리'에 맞춰 못으로 고정한 후 불태우라고 안내돼 있다.

 인형을 사면 전 연인이나 배우자, 직장 상사, 배신자 등을 겨냥하는 저주 부적과 대못 5개가 딸려 온다.

 다른 상품 설명란에는 "부적지에 나를 힘들게 한 대상에게 그간 못 한 말을 마음껏 적는다"고 돼 있다.

 이후 "인형을 주먹으로 때리고 발로 밟아준다", "인형의 손과 발을 마음껏 잡아당겨 준다", "관절을 꺾거나 비튼다", "불로 태우거나 냉동실에 보관한다" 등 저주 방법을 열거한다.

 인형을 아무리 괴롭혀도 잘 찢어지지 않는다며 우수한 품질을 홍보하기까지 한다.

 이들 상품의 핵심 '셀링 포인트'는 스트레스 해소다. 구매자 리뷰를 보면 실제로 화가 풀렸다는 글이 많다.

 한 구매자는 "어떤 미친 사람 때문에 되는 일이 하나도 없었는데 이 인형을 만나고 나서 속이 다 시원해졌다"고 호평했다.

 다른 이는 "나를 아프게 한 만큼 상대방도 더 많이 아팠으면 좋겠다"는 염원을 적는가 하면, "직장 동료가 내 눈앞에서 사라지게 해달라고 저주했더니 실제로 다리가 부러져 그만뒀다"며 '저주 효과'를 봤다는 상품평도 있다.

 사용 후기만 놓고 보면 순간적인 스트레스 해소에는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가학적인 사용법에 눈살이 찌푸려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상품 구매와 사용에 무방비하게 노출된 어린이들의 정신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아이들에게 바늘로 찌르고 태우는 저주 인형은 폭력적인 컴퓨터 게임만큼이나 정서적 악영향이 클 것 같다"며 "공공연하게 판매하는 데 제한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고 짚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