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비용 확대하는 제약·바이오 업계…"1년 새 38% 증가"

삼성바이오·셀트리온·유한양행 등 R&D 투자 박차…"신약으로 경쟁력 강화"

  우리나라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연구개발(R&D) 비용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신약을 개발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R&D가 필수적인 만큼 이와 관련한 비용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모습이다.

 23일 업계와 각 기업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작년 R&D 비용은 약 3천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2022년과 비교하면 46% 늘었다.

 유한양행의 R&D 비용 증가세도 두드려졌다.

 이 회사는 작년 R&D에 약 2천700억원을 투입했다. 2023년과 비교하면 38%, 2022년에 비해서는 49% 증가한 수준이다.

 대웅제약의 지난해 R&D 비용 합계는 약 2천300억원으로 2023년, 2022년과 비교해 13%, 16% 늘었다.

 그 외 종근당, 한미약품 등 기업도 R&D 비용을 확대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은 신약 개발을 위해 R&D 투자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등은 올해 신년사에서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R&D 강화를 통한 신약 개발 등에 주력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 같은 점은 최근 수치로도 증명됐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정책연구센터는 작년 발간한 '임상시험 산업실태 조사 보고서'에서 2023년 국내 제약사 96곳의 R&D 비용이 약 3조2천억원으로 1년 사이 3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들 제약사는 지난 3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시험 계획(IND)을 승인받은 이력이 있는 곳이다.

 일반 제약사 76곳과 바이오벤처 97곳 등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173곳으로 범위를 넓히면 2023년 R&D 비용은 총 4조99억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체 매출액의 15.8%를 투입한 수준이다.

 다만 지난해 녹십자[006280] 등 일부 제약사에서는 R&D 투자 비용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녹십자는 작년 R&D에 약 1천700억원을 투입했는데 이는 2023년과 비교하면 10% 줄어든 수치다. 2022년에 비해서는 18% 적다.

 녹십자 관계자는 "연구개발비는 파이프라인에 따라 변동된다"며 "혈액제제 '알리글로'가 식품의약품안전처,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등으로부터 허가받은 뒤 임상이 종료되며 R&D 비용이 축소된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매출 대비 R&D 비용을 9∼10%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유통 안전 훼손"
대한약사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 측 권고에 대해 "의약품 유통과 사용 관리를 위한 안전장치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대한약사회는 지난 28일 성명을 내고 "화상 투약기는 이용률과 판매 실적이 매우 낮아 국민 편익에 부합하지 못한다"며 "사업성과 사회적 편익 증가가 부족한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약국 외 격오지에도 (화상 투약기를) 설치하라는 권고는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이라며 "'대면 원칙'과 '약국'이라는 의약품 유통 및 사용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훼손된다"고 했다. 아울러 경구용 피임제, 수면유도제 등 품목이 화상 투약기를 통해 판매되는 데 대해 "이는 해외에서 매우 까다롭게 관리하는 품목"이라며 "약학 전문가의 우려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라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는 약국 앞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