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비용 확대하는 제약·바이오 업계…"1년 새 38% 증가"

삼성바이오·셀트리온·유한양행 등 R&D 투자 박차…"신약으로 경쟁력 강화"

  우리나라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연구개발(R&D) 비용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신약을 개발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R&D가 필수적인 만큼 이와 관련한 비용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모습이다.

 23일 업계와 각 기업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작년 R&D 비용은 약 3천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2022년과 비교하면 46% 늘었다.

 유한양행의 R&D 비용 증가세도 두드려졌다.

 이 회사는 작년 R&D에 약 2천700억원을 투입했다. 2023년과 비교하면 38%, 2022년에 비해서는 49% 증가한 수준이다.

 대웅제약의 지난해 R&D 비용 합계는 약 2천300억원으로 2023년, 2022년과 비교해 13%, 16% 늘었다.

 그 외 종근당, 한미약품 등 기업도 R&D 비용을 확대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은 신약 개발을 위해 R&D 투자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조욱제 유한양행 사장,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 등은 올해 신년사에서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R&D 강화를 통한 신약 개발 등에 주력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이 같은 점은 최근 수치로도 증명됐다.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정책연구센터는 작년 발간한 '임상시험 산업실태 조사 보고서'에서 2023년 국내 제약사 96곳의 R&D 비용이 약 3조2천억원으로 1년 사이 3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들 제약사는 지난 3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시험 계획(IND)을 승인받은 이력이 있는 곳이다.

 일반 제약사 76곳과 바이오벤처 97곳 등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173곳으로 범위를 넓히면 2023년 R&D 비용은 총 4조99억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체 매출액의 15.8%를 투입한 수준이다.

 다만 지난해 녹십자[006280] 등 일부 제약사에서는 R&D 투자 비용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녹십자는 작년 R&D에 약 1천700억원을 투입했는데 이는 2023년과 비교하면 10% 줄어든 수치다. 2022년에 비해서는 18% 적다.

 녹십자 관계자는 "연구개발비는 파이프라인에 따라 변동된다"며 "혈액제제 '알리글로'가 식품의약품안전처,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등으로부터 허가받은 뒤 임상이 종료되며 R&D 비용이 축소된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매출 대비 R&D 비용을 9∼10%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