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학계 "중증 기준 불합리해 상급병원 구조전환서 소외"

  정형외과 학계가 정부의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사업의 중증도 분류 기준이 불합리해 정형외과 진료와 수술이 소외·축소되고 있다며 기준 개선을 촉구했다.

 대한정형외과학회는 2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의정 갈등 사태로 인한 상급종합병원 정형외과의 위기'를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

 발표자로 나선 이재철 홍보위원장은 "현재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사업의 중증도 기준이 현장 의견과는 전혀 다른 기준으로 돼 있다"고 비판했다.

 이 위원장은 "질환 코드가 세분돼있지 않아 중증이어도 경증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면서 "예를 들어 척추 수술은 한 마디를 하든 다섯 마디를 하든 다 A군이 아니라 C군(단순진료질병군)으로 분류되는데, 실제로는 여러 마디의 척추 수술은 출혈도 심하고 중증도도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사업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중증 비율이 불합리하게 낮기 때문에 정형외과는 자원 이용에서 소외되고 비중도 축소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학회의 표본 조사에 따르면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지난해 중증도 A군 질환 비율은 14.2%에 불과했다. 53.7%는 중증도 B군, 32.1%는 C군이었다.

대한정형외과학회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사업 간담회 발표 일부

 이 위원장은 이러한 분류에 따라 진료를 하게 되면 상급종합병원의 교육 기능도 떨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무릎·어깨 관절경은 중증도가 낮다고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전공의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며 "이런 질환이 구조전환 사업에서 가산을 못 받는다면 정형외과는 전공의 교육을 할 수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소 책정된 수가가 상급종합병원에서의 정형외과 소외와 인력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한준 보험위원장은 "정형외과 수술은 재료비와 인건비 대비 평균 수익률이 -52.1%로 대부분이 적자를 보는 구조이며, 동일 수술실 체류 시간에도 정형외과 수술 수익은 외과의 40∼80%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한승범 이사장은 "낮은 중증도와 수가에 상급종합병원은 환자를 받고 싶어도 받을 수 없고, 수술방은 줄고 교수들은 나가고 있다"며 "지나치게 단순화된 분류체계를 세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