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 뇌세포 구조·연결 고해상도 배선 지도 완성…"신경과학 분수령 될 것"

MICrONS 컨소시엄, 네이처 등에 논문 10편 공개

 생쥐의 뇌세포가 어떤 구조를 이루고 어떻게 서로 연결돼 있으며, 뇌세포 구조와 연결이 뇌 활동과 어떻게 관련돼 있는지 보여주는 사상 최대의 고해상도 포유류 뇌 배선 지도가 완성됐다.

 150여명의 과학자가 7년여에 걸쳐 생쥐의 뇌세포 구조 및 연결 지도를 구축해온 마이크론(MICrONS : Machine Intelligence from Cortical Networks) 컨소시엄은 11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와 자매 학술지에 그동안 구축한 고해상도 생쥐 뇌 배선 지도를 10편의 논문으로 공개했다.

 고해상도 생쥐 뇌 배선 지도는 뇌 시각피질의 1㎣ 크기 조직을 분석한 것으로, 약 20만개의 세포와 8만4천여개의 신경세포(뉴런), 5억개의 시냅스(뉴런 간 연결 부위), 5.4㎞ 길이의 신경 연결망 정보를 담고 있다.

 뇌는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뉴런 등 세포 네트워크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은 시냅스로 연결돼 있다.

 인지 기능은 각 뉴런의 활성화와 세포 연결성 사이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MICrONS 컨소시엄은 포유류의 뇌 회로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생쥐의 시각피질을 이루고 있는 신경의 형태와 연결을 보여주는 고해상도 지도를 만들고, 이것이 기능 등과 어떻게 관련돼 있는지 탐색했다.

고해상도 생쥐 뇌 배선도 구축 과정

 먼저 베일러의대 연구팀이 영상 등 시각 이미지를 보면서 쳇바퀴에서 달리는 생쥐의 뇌 시각피질에 있는 뉴런 7만5천여개의 활동을 기록했다.

 이 쥐는 뉴런이 활성화될 때 형광단백질이 발현되도록 미리 유전자가 조작됐다.

 이어 앨런 뇌과학 연구소 연구팀은 시각피질 부위 뇌 조직 1㎣를 떼어내고 머리카락 400분의 1 두께로 잘라 2만5천개 이상의 슬라이스로 만든 다음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고해상도로 촬영했다.

 프린스턴대 연구팀은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을 사용해 세포와 연결을 3D로 재구성하고, 먼저 확보한 뉴런 활성화 데이터를 매칭했다.

 연구팀은 이를 종합 분석해 20만개 이상의 세포와 8만4천여개의 뉴런, 5억2천400만개의 시냅스 연결, 5.4㎞ 길이의 신경 연결망이 포함된 현재까지 가장 상세한 생쥐 뇌 연결 및 기능 지도를 완성했다.

 연구팀은 "이 지도를 통해 뇌의 형태와 기능을 이해하고 뉴런 간 연결을 상세히 분석할 수 있게 돼 뇌와 지능을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며 "이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조현병 같은 신경질환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하버드대 마리엘라 D. 페트코바 박사팀은 네이처에 게재된 논평(News & Views)에서 "이 지도는 포유류 뇌의 한 영역, 그것도 아주 작은 부분을 보여주지만 살아 있는 포유류의 뇌 구조와 신경 활동을 연결한 가장 포괄적인 데이터세트"라며 "이는 향후 신경과학 발견을 위한 소중한 공동자원으로 중대한 도약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 출처 : Nature, Nuno Maçarico da Costa et al., 'Functional connectomics spanning multiple areas of mouse visual cortex',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8790-w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