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C형 간염 유병률 연평균 2.7% 감소…지역 격차는 여전"

국립암센터 기모란 교수 연구팀, 2005∼2022년 건보공단 빅데이터 분석

 국내 C형 간염 유병률이 최근 18년간 해마다 3%가량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보건 AI(인공지능) 학과 기모란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5∼2022년 전국 C형 간염 유병률 추이를 분석했다.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에 따른 간 질환으로, 감염자의 약 70∼80%에서 만성화하는 특징이 있다.

 분석 결과, 한국의 C형 간염 유병률은 2005년 인구 10만명당 151명에서 2022년 98명으로 연평균 2.7%씩 감소했다.

 특히 최근인 2018∼2022년에는 연평균 10.4%로 감소세가 더 가팔랐다.

 지역별 유병률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 부산이 인구 10만명당 210명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경남(131명), 전남(127명) 순이었다. 이들 세 지역은 연구 기간에 유병률이 전국 평균보다 줄곧 높았다.

 17개 시도 중 충북(인구 10만명당 40명)의 유병률이 가장 낮았고, 그다음으로 강원(57명), 세종(58명) 순이었다.

 시군구별로 가장 많이 유병률이 하락한 곳은 충북 보은군으로, 2005년 인구 10만명당 361명에서 2022년 34명으로 연평균 23.7% 줄었다.

 반면 가장 많이 상승한 곳은 연평균 3.0%씩(2005년 64명→2022년 87명) C형 간염 환자가 늘어난 경북 군위군이었다.

 신규 환자 기준 C형 간염 발생률은 2005년 인구 10만명당 78.3명에서 2022년 16.3명으로 대폭 줄었으나 사망률은 2005년 1.1%에서 2022년 1.6%로 올랐다.

 기모란 교수는 "한국의 C형 간염 유병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나 지역별로 여전히 격차가 존재한다"며 "C형 간염 퇴치 목표를 달성하려면 고위험 지역과 함께 최근 유병률이 오른 지역을 우선 집중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지역별 위험도에 따라 선별 검사와 치료 프로그램을 차별화하는 예방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고위험 지역을 중심으로 C형 간염을 완치할 수 있는 최신 치료제인 항바이러스제(DAA)의 치료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BMC 퍼블릭 헬스'에 실렸다.

기모란 교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