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에서 논리적 사고·문제 해결 담당 영역 찾았다"

英 연구팀 "뇌 손상 환자 실험 연구로 우측 전두엽 추론 기능 확인"

 뇌졸중이나 뇌종양 등으로 뇌 특정 부위가 손상된 환자들에 대한 실험 연구에서 우측 전두엽이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같은 추론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조지프 몰 박사팀은 18일 신경학 저널 브레인(Brain)에서 좌·우측 전두엽 등에 국소 병변이 있는 환자들에 대한 사고 실험에서 우측 전두엽이 추론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들은 주로 건강한 사람의 뇌 활동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이런 연구는 인과관계가 아닌 상관관계만 제공하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좌우 전두엽 또는 후두엽에 국소 병변이 있는 환자 247명과 건강한 81명을 대상으로 추론 능력을 평가하는 테스트를 하고 병변-결손 매핑 기법으로 분석했다.

 테스트로는 '새러가 다이앤보다 똑똑하고, 새러가 헤더보다 똑똑하다면 다이앤은 헤더보다 똑똑한가?"처럼 단어 간 관계를 찾아야 하는 언어적 유추 추론 과제와 '5,6,7과 6,5,7 중 어느 것이 1,2,3과 더 유사한가?'처럼 그림, 도형, 숫자 등의 논리적 패턴을 파악하는 비언어적 추론 과제가 사용됐다.

 연구 결과 우측 전두엽이 손상된 사람들은 다른 부위에 손상이 있는 사람들보다 두 테스트에서 훨씬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른 환자나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실수를 15%가량 더 많이 했다.

 논문 제1 저자인 몰 박사는 "이 연구는 우측 전두엽이 사람들이 새 문제를 생각하고 해결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조사한 것으로, 두 가지 테스트는 뇌 손상이 있는 사람의 추론 문제를 감지, 진단과 치료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실험에서 사용된 새로운 두 테스트가 인지 장애 식별에 도움이 될 수 있어 임상적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추가 검증을 통해 이들 추론 테스트를 우측 전두엽 기능 장애를 평가하는 도구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책임자인 리사 시폴로티 교수는 "이 연구는 우측 전두엽이 추론과 새로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유동적 지능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이는 추론의 근간을 이루는 복잡한 신경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Brain, Joseph Mole et al., 'A right frontal network for analogical and deductive reasoning', https://doi.org/10.1093/brain/awaf06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지방의료원·보건소에 '시니어 의사' 채용 지원
보건복지부는 지역 필수의료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의료원과 보건소 등을 대상으로 '시니어 의사' 채용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사업 취지는 임상 경험이 풍부한 시니어 의사들이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구축해 지역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는 지방의료원 등 지역 공공의료기관뿐만 아니라 공중보건의사 감소로 의사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보건소까지 포함해 확대 추진한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자격 요건을 갖춘 시니어 의사를 채용한 지역 의료기관, 보건소 등에 채용지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때 각 의료기관이 채용하는 시니어 의사는 전문의 취득 후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급 이상 수련병원에서 10년 이상 근무 또는 20년 이상 임상 경력이 있는 60세 이상이어야 한다. 사업 참여를 원하는 기관은 이날부터 내달 9일까지 관할 시도에 신청서 및 사업 계획서를 제출하면 된다. 시니어 의사의 근무 형태에 따라 전일제는 월 1천100만원, 시간제는 월 400만원의 지원을 각 6개월간 받을 수 있다. 복지부는 선정평가위원회를 통해 각 기관에서 제출한 서류와 시니어 의사의 근무 경력, 의료취약도, 사업 계획의 구체성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경세포 파킨슨병 환자 뇌에 이식해 안전성과 증상 개선 효과 확인
일본 연구팀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만든 신경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해 안전성과 함께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이 18일 보도했다. 교토대iPS세포연구소의 다카하시 준 교수 등 연구팀은 2018년부터 파킨슨병 환자 7명의 뇌에 건강한 사람의 iPS로 만든 신경세포를 각각 500만∼1천만개 이식한 결과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안전성만 조사한 환자 1명을 제외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한 6명은 이식 세포에 의한 도파민 생성이 모두에게서 확인됐으며 이 가운데 4명은 운동 기능 등 증상이 개선됐다. 이번 임상시험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도 게재됐다. 다카하시 교수는 "환자의 증상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치료 기술을 제품화해 대형 제약사인 스미토모파마와 손잡고 1년 이내에 제품 제조 판매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알츠하이머처럼 고령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파킨슨병은 신경세포가 줄면서 손발이 떨리거나 몸이 경직되는 퇴행성 질환으로,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고 도파민 분비를 촉진하는 약으로 증상을 억제하는 수준에 머물러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