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29일)

[오늘의 증시일정](29일)
◇ 신규상장
▲ 에이아이코리아[364950]

 

    ◇ 추가 및 변경상장
▲ 안지오랩 [251280](주식전환 16만6천666주 9천원)
▲ 세기상사 [002420](유상증자 41만1천100주 4천865원)
▲ 제이준코스메틱 [025620](유상증자 30만4천411주 3천285원)
▲ 코다코 [046070](유상증자 126만6천992주 500원)
▲ 스코넥 [276040](유상증자 27만5천861주 3천625원)
▲ 폴라리스AI [039980](스톡옵션 33만8천556주 1천70원)
▲ 오성첨단소재 [052420](주식소각)
▲ 파버나인 [177830](CB전환 20만5천198주 2천924원)
▲ 엑스페릭스 [317770](CB전환 84만1천163주 2천467원)
▲ 광림 [014200](주식분할)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28일) 주요공시]
▲ 넥스턴바이오[089140], 15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KH 필룩스[033180], 31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KH 필룩스[033180], 53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한화오션, 부유식 독·해상크레인 신규도입…생산능력 확대
▲ 대한유화[006650] 1분기 영업손실 99억원…적자 축소
▲ 한화시스템[272210] 1분기 영업이익 582억원…작년 동기 대비 27.9%↑
▲ 아이톡시[052770] "원컴즈 주식 9억원어치 취득…지분율 31%"
▲ iM금융지주[139130] 1분기 영업이익 2천91억원…작년 동기 대비 31.9%↑
▲ 이녹스첨단소재[272290] 1분기 영업이익 264억원…작년 대비 67.3%↑
▲ K-조선, 호황기 '순풍'에 트럼프 '돛' 달았다…호실적 릴레이
▲ 두산밥캣[241560] 1분기 영업이익 2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38.6%↓
▲ LG생활건강[051900] "美법인 주식 1천865억원에 추가취득…지분율 100%"
▲ iM뱅크 1분기 영업이익 1천613억원…작년 동기 대비 5.4%↑
▲ iM증권 1분기 영업이익 332억원…흑자 전환
▲ LG생활건강[051900] 1분기 영업이익 1천424억원…작년 동기보다 6% 감소
▲ LIG넥스원, 장사정포 요격체계 체계개발 사업 수주…834억 규모
▲ HD현대건설기계[267270] 1분기 영업이익 417억원…전년동기 대비 22.3%↓
▲ 현대오토에버[307950], 1분기 매출 8천330억원…역대 최고
▲ 한화오션[042660] 1분기 영업이익 2천586억원…작년 동기 대비 388.8%↑
▲ 주성엔지니어링[036930] 1분기 영업이익 339억원…작년 대비 382.3%↑
▲ HD한국조선해양, '中 주력' 컨테이너선 22척 2.5조 수주 '잭폿'
▲ 한화오션, 초대형 원유운반선 2척 3천710억원에 수주
▲ LG CNS 1분기 매출 1조2천114억원…역대 최대
▲ 에스오일 1분기 영업손실 215억원…적자 전환
▲ DB하이텍[000990], 1분기 영업이익 525억원…작년 동기 대비 27.8%↑
▲ 흥국증권 "제일기획[030000], 불확실한 대외 환경에도 우수한 실적"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