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장병원' 신고자에 16억원 포상금…역대 최고 금액

건보공단, 제보 한 통으로 211억원 진료비 부당청구 적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요양기관의 급여비용 부당청구 행위를 신고한 제보자 10명에게 총 17억2천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한다고 9일 밝혔다.

 건보공단은 이들의 제보로 병의원 10곳에서 총 232억5천만원을 거짓·부당하게 청구한 사실을 적발했다.

 이번에는 공단 사상 최고 포상액인 16억원이 제보자 한 명에 지급될 예정이다.

 건보공단에 따르면 애초 개인 사업자였던 A씨는 의사인 친인척 B씨 명의로 사무장병원을 차린 뒤 수익을 차량 할부금, 카드 대금 등에 사적으로 사용했다.

 그러다 B씨와 병원 운영에 불화가 생기자 내연 관계인 C씨와 또다시 사무장병원을 개설한 뒤 본인과 C씨의 임금으로 연봉 1억8천만원을 주기로 하는 등 수익을 빼돌렸다.

 사무장병원을 운영하며 부당하게 편취한 금액은 211억원에 이른다.

 이밖에 병원 컨설팅 업체 대표가 치과의사 명의를 빌려 치과의원을 개설해 4억2천만원을 편취하거나, 비급여 진료를 하거나 진료를 하지 않고도 건보공단에 4억4천만원을 허위로 청구한 치 과의원 사례도 적발됐다.

 각각의 제보자에게는 3천만원과 5천만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건보공단은 건보 재정 누수를 예방하기 위해 2005년 7월부터 '건강보험 신고 포상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요양기관 관련자는 최고 20억원, 요양기관 이용자 등 일반 신고인은 최고 500만원까지 포상금을 받을 수 있다. 신고는 공단 홈페이지(nhis.or.kr)와 모바일앱(The건강보험), 방문 및 우편으로 하면 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