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활용 3D 연골 세포, 골관절염 환자에 첫 투여 성공"

가톨릭중앙의료원 "면역 거부반응 없이 정착…상용화 전환점"

 줄기세포를 활용해 만든 3차원(3D) 연골 세포치료제를 골관절염 환자에게 처음 투여해 안정성을 입증했다고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이 밝혔다.

 가톨릭중앙의료원 첨단세포치료사업단의 주지현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17일과 30일 2명의 골관절염 환자에게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에서 유래한 3D 연골세포를 관절강에 직접 주사했다.

 환자들 모두 특별한 이상 반응 없이 시술을 잘 마쳤고, 염증이나 통증과 같은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의료원은 전했다.

 연구진은 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연골 세포를 만들고, 3차원 구조로 가공해 주사제 형태로 개발했다.

 이 주사제를 면역세포가 잘 침투하지 못하는 관절강에 투여해 이식된 세포가 비교적 안전하게 자리 잡을 수 있게 했다.

 골관절염은 연골이 닳아 관절통과 움직임 제한이 생기는 대표적 퇴행성 질환이다. 현재는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법이 대부분이며 연골을 재생시키는 치료법은 매우 제한적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의료원 측은 "이번 치료는 국내 첫 사례이자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시도"라며 "단순한 증상 완화를 넘어 손상된 연골 자체를 줄기세포로 대체하거나 재생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주 교수는 "장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면밀하게 입증할 계획"이라며 "특히 면역 거부 반응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은 줄기세포 치료의 상용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 AI 진단보조시스템 도입
경기도는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에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해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AI 진단보조시스템은 의료기관의 기존 PACS(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와 연동돼 실시간 진료에 활용된다. 폐결절, 유방암, 치매, 뇌졸중 같은 주요 질환의 영상 판독과 식약처 인증을 받은 설루션을 지원하는 등 의료진의 판독 업무를 보조해 진단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이게 된다.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은 3개 병원의 영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AI 학습용 데이터로 전환해 의료 AI 기업의 데이터 확보 어려움을 해소하게 된다. 유신씨앤씨 컨소시엄이 수행하는 실증사업은 오는 11월까지 7개월간 진행된다. 컨소시엄에는 PACS 연동과 영상 데이터 가명화에 강점을 지닌 유신씨앤시, 폐결절과 유방암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진단 설루션을 보유한 루닛, 뇌질환 중심의 MRI 기반 분석 기술에 특화된 휴런 등 분야별 전문기업이 참여한다. 도는 사업 종료 시점에 맞춰 성과공유회를 열고 시스템 운영 결과와 의료데이터 활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확대 여부를 검토하고 향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