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여름 더위' 지난 주말 전국서 온열질환자 16명 첫 발생

질병청 15일부터 감시체계 가동…"물 자주 마시고 헐렁한 옷 입어야"

 한낮 더위가 초여름을 방불케 했던 지난 주말 온열질환으로 서울 15명, 강릉 1명 등 전국에서 총 16명이 응급실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 온열질환 감시체계 신고 결과에 따르면 토요일인 지난 17일 전국 517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을 통해 들어온 온열질환자는 15명이었다.

 이 중 14명은 서울에서, 나머지 1명은 강원에서 발생했다.

 17일엔 낮 최고기온이 서울 24도, 강릉과 대구는 30도 안팎을 웃돌면서 초여름 날씨를 보였다.

 지난 주말 서울에서만 15명이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것이다.

 온열질환은 고온의 환경에 장시간 노출돼 발생하는 급성질환으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특히 올해는 6월부터 고온 현상이 나타나고, 7∼8월엔 무더운 날이 많아질 전망이라 특별히 건강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온열질환은 샤워를 자주 하고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을 입는 등 생활 속 실천으로 예방할 수 있다.

 갈증을 느끼지 않도록 자주 물을 마시고 가장 더운 시간인 정오에서 오후 5시 사이에는 되도록 야외작업이나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질병청은 온열질환으로 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름철마다 감시체계를 운영해 매일 전날 온열질환자 발생 현황을 공개하고 있다.

 올해 감시체계는 작년보다 5일 빠른 이달 15일 가동에 들어가 9월 30일까지 역대 가장 오랜 기간 지속한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