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동일노동·동일임금 '법제화의 틀', 사회적 대화로 짜길

이시바 총리 "전쟁 반성" 발언이 진정성 있으려면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주미 대사 없이 하나

▲ 동아일보 = '갈지자' 서울 집값…'부실 통계'가 시장 흔들어선 안 된다

"동일노동 동일임금 법제화"…직무급제 정착 없인 '그림의 떡'

폐가처럼 방치된 현충시설들, 잡초에 묻힌 '광복 80년'

▲ 서울신문 = 협치 실마리, 열쇠 쥔 여당이 먼저 풀어 주는 정치력을

"9·19 합의 선제적 복원" … 대북억지 능력 약화 없어야

구조 재편 시급한 K제조업, 석유화학만이 아니다

▲ 세계일보 = 트럼프·푸틴 회담서 확인된 자강의 가치 새겨야

전한길 정리 못 하고 반탄 후보 독주하는 국힘

국채 이자 연 30조 넘길 판인데 '확장재정' 고집하나

▲ 아시아투데이 = '공정가치 훼손' 조국, 정치 재개 전 사과부터

금융당국 개편 불확실성, 시장 악영향 우려된다

▲ 조선일보 = 하이닉스 빼면 500대 기업 이익 감소, 기업 옥죌 때가 아니다

이진숙 한 사람 쫓아내려고 방통위 허무는 법까지 만든다니

여당의 정치적이고 과도한 '친일 몰이'

▲ 중앙일보 = 국채이자 연 30조원…커지는 확장재정의 무게

약소국 배려 없는 미·러 담합, 남의 일 아니다

▲ 한겨레 = '윤건희' 늪에서 허우적대는 국민의힘 전당대회

광복 80년 한-일, '투 트랙 전략'이 과거 덮자는 게 아니다

석유화학산업 구조조정, 경쟁력 강화 계기 돼야

▲ 한국일보 = 이 대통령 '동반자' 이시바 '반성' … 한일관계 훈풍 이어가야

미러, 우크라 주권 압박… 냉혹한 국제정치의 민낯

내수 진작 역행하는 임시공휴일 지정 자제를

▲ 글로벌이코노믹 = 5년간 공약실현에 210조 더 투입

한국과 일본의 경제안보 협력 조건

▲ 대한경제 = 지방중심 건설경기 활성화 방안, 꼼꼼한 집행이 관건이다

'휴전 노딜' 알래스카 회담이 보여준 냉엄한 '힘의 논리'

▲ 디지털타임스 = 'AI 3대 강국' 도전… 인재 확보와 생태계 구축이 관건이다

부작용 우려 큰 '동일노동 동일임금' 법제화, 서두를 일 아니다

▲ 매일경제 = 국채 이자 4년새 10조 늘었는데 … 빌려서 씨뿌리겠다는 정부

20% 美 관세에도 성장률 전망 대폭 올린 대만의 저력

치솟는 전기료 부담에 갈수록 늘어가는 기업 전력직구

▲ 브릿지경제 = 수출 경쟁력 위해 'K-스틸법' 지체할 시간 없다

▲ 서울경제 = '양도세 50억vs10억'에 멍드는 증시…빨리 혼란 끝내야

미러 '알래스카 노딜'에 아른대는 '서울 패싱' 그림자

다시 도진 망국적 '광장 충돌' 여야 협치 없으면 치유 못 해

▲ 이데일리 = 순기능보다 부작용 큰 임시공휴일 지정, 않는 게 맞다

온실가스 감축 불똥, 산업용 전기료로 튀면 곤란

▲ 이투데이 = 트럼프가 실현시킨 덩샤오핑의 꿈

▲ 전자신문 = 피지컬AI 생태계 조사 제대로 하자

▲ 파이낸셜뉴스 = 전기료 인상 개편안, 충분한 국민 공감대 얻어야

동일노동 동일임금 법제화, 임금체계 수술이 먼저

▲ 한국경제 = 임대차 계약 3분의 2가 월세 … 전세대출 규제 손질해야

광복절에 또 갈라진 나라, 與가 먼저 손 내밀 때

첨단산업 보호 위해 인텔 지분까지 사들이는 美

▲ 경북신문 = 이철우, 광복절에 고백한 투병 일화… 장내 숙연

▲ 경북일보 = 경기불황 반증, 청년실업 급증 대책 급하다

17년째 표류 영일만대교, 정치권이 답하라

▲ 대경일보 = 애국애족 정신을 함양하자

영일만대교 건설 18년째 제자리 말이 되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