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 '가짜 저산소 신호' 회로 끊어 전이 차단한다"

UNIST, 특정 단백질 활성화해 흑색종 세포 전이 억제 입증

 산소가 부족하면 세포가 만드는 'HIF1α' 단백질이 암의 침투력을 키운다. 이를 이용해 가짜 산소 부족 신호를 내는 방식으로 전이 능력을 강화하는 암세포의 생리 회로가 처음 밝혀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강병헌 교수팀은 최근 산소가 충분함에도 부족한 것처럼 신호를 내 전이를 유도하는 회로를 피부암인 흑색종 세포에서 발견했다고 밝혔다.

 강 교수팀은 'CypD'라는 단백질을 다시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이를 차단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진은 흑색종이 '활성 산소'를 가짜 산소 부족 신호로 활용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CypD 단백질을 활성화하면 흑색종 세포의 가짜 저산소 신호 회로를 끊을 수 있다는 사실도 찾아냈다.

 CypD 단백질이 활성화하면 세포 미토콘드리아의 '투과성 전이공'(mPTP)이 열리면서 세포 안에 활성 산소가 과도하게 축적되지 않는다. 활성 산소가 축적된 상태에서는 HIF1α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는 PHD 효소의 작용이 억제된다.

 연구진은 동물 실험에서 CypD 단백질이 과발현할 수 있는 유전자 운반체를 피부암 조직에 국소 투여하자 림프절과 페로의 전이가 효과적으로 차단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피부 표면의 원발 종양 크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강병헌 교수는 "흑색종은 피부 표면에 위치해 약물 주입이 쉽다는 점에서 국소 유전자 치료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며 "CypD 기반 유전자 치료는 기존 면역항암제와 병용 시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동시에 암세포를 직접 공격함으로써 상승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런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의 암 치료·신호 전달 분야 자매지인 '신호 전달과 표적 치료'(Signal Transduction and Targeted Therapy) 온라인판에 7월 24일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희귀질환자 눈물닦는다…신약 고속도로 열고 의료비부담 낮춰
수억 원에 달하는 약값과 기약 없는 기다림에 지쳐있던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의 빛이 비치고 있다. 정부가 환자들의 오랜 염원에 응답하며 신약의 건강보험 적용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의료비 부담을 대폭 완화하는 국가책임 강화 방안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단순히 비용을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환자들이 적시에 최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신약 등재 기간 90일 단축…'고속도로' 열린다 보건복지부와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희귀중증 질환자의 치료비 부담 완화를 국정과제로 추진하는데, 여기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신약의 신속한 건강보험 등재를 위한 '고속도로'가 깔린다는 점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평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약가 협상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절차는 환자들에게 너무나 긴 시간이었다. 정부는 이 세 가지 절차를 동시에 진행하는 '허가-평가-협상 연계 시범사업'을 본사업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신약이 환자에게 도달하는 시간을 최대 90일까지 단축할 계획이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하루가 급한 환자들에게 이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시간이다. ◇ 소득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