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수치료 전국 최고 60만원·최저 300원…약침술은 10원∼30만원

복지부·심평원, 올해 비급여 항목 693개 진료비 공개…64%가 가격 인상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진료비를 전액 부담하는 비급여 항목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도수치료의 가격이 전국적으로 최대 2천배 가까이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 진료 중 약침술의 경우 전국 최저는 10원, 최고는 30만원으로 3만배나 가격이 벌어졌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의료기관별 2025년 비급여 진료비를 심평원 홈페이지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건강이(e)음'에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

 올해는 전체 의료기관의 비급여 항목 693개가 공개됐다.

 양 기관이 올해 비급여 진료비의 가격 변동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와의 공통 항목 571개 중 367개(64.3%)의 평균 가격이 인상됐다. 평균 가격이 인하된 항목은 191개였다.

 하지만 지난해 6월 대비 올해 6월 물가상승률(2.2%)을 고려했을 때는 올해 비급여 진료비 평균 금액이 하락한 항목이 429개로 더 많았다.

서울 지역 전체 의료기관의 도수치료 비용 검색 결과

 비급여 항목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도수치료의 평균 가격은 지난해보다 1.3% 올랐다.

 상급종합병원부터 의원까지 전체를 통틀었을 때 도수치료비 전국 최고값은 60만원이고, 최저값은 300원이었다. 중간값은 10만원이었다.

 일반 국민이 쉽게 찾는 의원으로 범주를 한정해도 최고 50만원, 최저 300원으로 여전히 가격 차가 컸다.

 도수치료 외에 수요가 많은 주요 비급여 항목 가운데 약침술이나 임플란트도 가격 편차가 컸다.

 전체 의료기관을 통틀어서 약침술의 전국 중간 가격은 1만원이었는데 최고가격은 30만원, 최저 가격은 10원(0원인 곳 제외)으로 무려 3만배 차이가 났다. 약침술은 약물을 경혈에 주입함으로써 침과 한약의 작용을 병행하는 시술이다.

 지르코니아 재료를 쓰는 임플란트의 경우 비급여 진료비는 치아 1개당 최고 990만원, 최저 7만9천원, 중간은 115만원이었다.

 같은 비급여 항목이라도 의료기관 인력이나 시설, 시술 난도 등에 따라 금액이 다를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도 큰 차이가 나는 셈이다.

 올해 새로 공개된 비급여 항목 중 백내장 진단에 쓰는 샤임프러그 사진촬영 검사(중간 6만5천90원)의 경우 전국 최고는 200만원, 최저는 5천400원이었다.

 복지부와 심평원은 합리적 선택을 위해 홈페이지에서 각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를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권병기 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앞으로도 소비자·의료계 등 여러 분야의 의견을 듣고 국민의 비급여 진료 선택에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비급여 가격공개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안전한 정맥 주삿바늘 개발…체내에서 부드러워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정재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정 교수는 체온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정맥 주사 바늘을 개발해 환자의 안전을 강화하는 등 착용형·체내 삽입형 전자소자·의료기기 융복합 연구로 헬스케어 혁신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는 치료 방법으로 의료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기존 정맥주사 바늘은 딱딱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돼 혈관 벽 손상, 정맥염 같은 합병증, 의료 종사자 찔림 사고 등의 위험 우려가 있다. 정 교수는 액체 금속 갈륨이 체온에 반응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특성을 활용, 상온에서 딱딱한 상태였다가 체내에 삽입되면 생체 조직처럼 부드러워지는 가변강성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이 주삿바늘은 삽입 상태에서도 환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사용 후 상온에서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해 의료 종사자의 바늘 찔림 사고를 예방하며, 비윤리적인 주삿바늘 재사용 문제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8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 표지논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