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하고 까다로운 심부전 진단, AI로 쉽고 간편하게

삼성서울병원, 흔한 심전도검사로 심부전 진단 AI 모델 개발

  단순한 증상으로는 알아채기 어려운 '박출률 보존 심부전'을 쉽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경민·홍다위 교수 연구팀은 AI를 활용해 수축 기능이 보존된 심부전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해 유럽심장학회 디지털헬스 관련 학술지(European Heart Journal - Digital Health)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심부전은 심장의 좌심방에서 받은 혈액을 전신에 펌프질해 내보내는 좌심실 기능에 이상이 생겨 체내의 모든 기관과 조직의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 역시 숨이 차거나, 피로함, 운동할 때의 불편감 등 비특이적이어서 정확히 진단하려면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해 그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편이다.

 연구팀은 박출률 보존 심부전 진단의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잡한 검사 없이 병원에서 널리 사용하는 12유도 심전도 검사(12개 전극을 붙여 심전도를 검사하는 방식) 결과만 있어도 진단할 수 있는 AI 모델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2016∼2022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심장 초음파, 12유도 심전도 검사 등을 받은 1만3천81명을 박출률 보전 심부전 그룹과 대조군으로 나눴다.

 이후 이들의 심전도 데이터와 최대 5년간의 임상 정보를 AI에 학습시킨 뒤 통합 분석해 진단할 수 있게끔 설계했다.

 연구팀이 AI 모델의 심전도 진단 예측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 모델을 가동하자, 1에 가까울수록 예측 정확도가 높다는 의미인 AUC 값은 0.81을 기록했다.

 고령, 비만, 당뇨, 고혈압 등 심전도 고위험군에서의 AUC 값도 0.78~0.83으로 성능이 유지됐다.

 이번 연구는 AI 기반 심전도 모델을 활용해 박출률 보존 심부전 가능성을 예측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박경민 교수는 "기존 심장 초음파나 혈액검사가 없는 환자에게서도 간단한 심전도 검사만으로 박출률 보존 심부전의 가능성을 조기에 의심해볼 수 있어 진단의 사각지대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