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원 입원 아동·청소년 4년 새 2배로…주원인은 우울"

19세 미만 정신병원 입원 환자 2020년 1천76명→2024년 2천126명

 우울증 등으로 정신병원에 입원한 아동·청소년 환자 수가 4년 새 2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신병원에 입원한 만 19세 미만 환자 수는 2020년 1천76명에서 2024년 2천126명으로 늘어났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등 행동 문제로 인한 입원은 2020년 266명에서 2024년 668명으로, 우울·불안 등 정서 문제로 인한 입원은 같은 기간 514명에서 940명으로 증가했다.

 이와 함께 심평원이 제출한 아동·청소년 정신과 약물 처방 현황을 추가로 분석한 결과, 202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4년 반 동안 항정신병·항우울제·항불안제·수면제를 처방받은 아동·청소년 누적 환자 수는 약 220만명에 달했다.

 이 중에서 항정신병 약물을 처방받은 7∼12세 환자 수는 2021년 3만2천200명에서 2024년 6만6천100명으로, 항우울제 처방은 1만8천800명에서 3만8천400명으로 각각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중고등학교 재학 시기인 13∼17세에서는 여성 청소년이 많았다.

 항우울제를 처방받은 13∼17세 여성 청소년은 2021년 3만3천900명에서 2024년 5만9천300명으로 75% 늘었으며, 항불안제 처방도 4만5천900명에서 5만6천600명으로 23% 증가했다.

 같은 기간 13∼17세 남성 청소년의 항우울제 처방은 2만2천900명에서 3만9천200명으로 71% 증가했고, 항불안제는 3천명에서 3천400명으로 13% 늘었다.

 서영석 의원은 "4년 사이 아동·청소년 정신과 환자와 약물 처방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며 "복지부는 아동 정신건강 관리체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조기 개입과 심리치료를 위한 학교·지역사회 연계 중심의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표] 최근 5년간 정신병원에 입원한 아동·청소년 환자 입원 사유 통계

 

구분 총계 발달문제 ADHD 등 행동문제 정서문제 정신병적 문제 기타
물질남용 행위중독 식사문제
2020 1,076 39 266 514 129 15 3 0
2021 1,326 26 295 704 141 31 1 0
2022 1,405 44 350 707 131 35 6 0
2023 1,969 61 535 963 150 41 15 0
2024 2,126 38 668 940 161 24 27 0
2025.8. 1,398 44 501 575 113 9 10 0

 

※ 보건복지부 자료, 서영석 의원실 재구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