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빈도보다 양이 중요…주3회 4천보→사망위험 40% 감소"

美 연구팀 "노년 여성 11년 관찰…많이 걸을수록 심혈관질환·사망 위험 낮아"

  '얼마나 자주 걷느냐'보다 '얼마나 많이 걷느냐'가 건강에 더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년 여성에 대한 연구에서 주 3회 하루 4천보 이상 걸을 경우 사망 위험이 40%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하버드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리쿠타 하마야 박사팀은 영국 스포츠의학 저널(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서 노년기 여성 1만3천여명을 대상으로 하루 걸음 수와 심혈관 질환 및 사망 위험 간 관계를 추적 관찰한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27일 밝혔다.

 많은 연구에서 활발한 신체활동이 건강수명 연장에 중요하다는 게 확인되고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얼마나 많은 신체활동을 해야 하는지, 건강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신체활동 수준은 얼마 인지 아는 것도 중요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심혈관질환과 암 진단 이력이 없는 여성 1만3천547명(평균 나이 71.8세)을 대상으로 하루 걸음 수와 심혈관 질환 및 사망 위험 간 관계를 평균 11년간 추적 관찰했다.

 참가자들은 2011~2015년 7일간 가속도계를 착용해 걸음 수를 측정했다. 추적 관찰이 이루어진 2024년까지 사망자는 1천765명(13%), 심혈관 질환 진단을 받을 사람은 781명(5%)이었다.

 분석 결과 하루 4천보 이상을 걷는 날이 1주일에 3일 이상인 그룹은 하루도 안 되는 그룹에 비해 전체 사망 위험이 40% 낮았고, 1~2일인 그룹도 사망 위험이 2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하루 4천보 이상 걷는 날이 1~2일인 그룹과 3일 이상인 그룹 모두 하루도 4천보 이상 걷지 않는 그룹보다 27% 낮았다.

 또 하루 평균 걸음 수가 5천보 이상인 경우 사망 위험이 30% 내외, 6천~7천보 이상인 경우 32~40% 정도 낮아지는 등 걸음 수가 많을수록 사망 위험이 조금씩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주 1~2회라도 하루 4천보 이상 걸으면 사망 위험과 심혈관 질환 위험이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는 걷기 빈도보다는 걸음 총량(step volume)이 노년층 건강에 더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결과가 시사하는 실제적 의미는 더 좋거나 가장 좋은 걷기 패턴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걸음 총량이 건강의 핵심 요인이라는 점"이라며 "매일 꾸준히 걷든 한꺼번에 몰아서 걷든 자기에게 맞는 형태로 신체활동을 하면 사망과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출처 :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Rikuta Hamaya et al., 'Association between frequency of meeting daily step thresholds and all- cause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older women', https://bjsm.bmj.com/lookup/doi/10.1136/bjsports-2025-11031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만약 '위고비·마운자로' 오남용심각…정부 "우려의약품 지정"
정부가 '위고비', '마운자로' 등 신종 비만 치료제의 오남용 문제에 칼을 빼 든다. 미용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처방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이들 약물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의약분업 원칙을 위반한 의료기관의 '원내조제' 행위에 대한 단속도 강화한다. 최근 이들 약물은 본래의 당뇨병 치료나 고도비만 환자 대상이 아닌, 정상 체중인 사람들에게까지 '살 빼는 주사'로 알려지며 미용 목적으로 처방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오남용 실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허가 기준을 벗어난 처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분명한 입장을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와 협의해 해당 약물들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 약물들은 체중 감량 효과가 뛰어나 '기적의 약'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전문의약품인 만큼 뚜렷한 부작용 위험을 안고 있다. 가벼운 메스꺼움이나 구토, 설사 등 소화기계 문제뿐만 아니라, 심각하게는 췌장염이나 장폐색(장 마비) 같은 치명적 합병증까지 보고된 바 있다. 의약분업 원칙을 둘러싼 '원내 조제' 논란도 정부의 관리·감독 대상에 올랐다. 현행 의약분업 원칙상 의사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