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을 때 심혈관 관리가 중년 심뇌혈관·신장병 위험 70% 낮춰"

세브란스병원, 2002∼2004 검진 참여 30세 추적 관찰 결과 공개

 젊은 시절부터 심혈관 건강 관리에 힘쓰면 실제로 중년기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발생 위험을 70% 이상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호규· 하경화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신장내과 지종현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2∼2004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30세 성인 24만1천924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의 심혈관 건강을 신체활동, 흡연, 체질량지수, 혈압, 혈당, 혈중 지질 등 6개 항목을 기준으로 검진 시점마다 평가했다.

 이를 종합해 30세부터 40세까지 10년간의 누적된 심혈관 건강 점수를 구한 뒤 5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후 평균 9.2년간 추적 관찰을 진행했다.

 심혈관 건강 수준이 가장 좋은 집단을 하위 20% 집단과 비교하면 이들의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73%, 신장질환 발생 위험은 7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 건강을 더 높은 수준으로, 더 오랜 기간 유지할수록 심뇌혈관질환과 신장질환 예방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통상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과 만성 콩팥병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공통된 위험인자를 갖고 있다.

 이 위험인자들은 젊은 성인기부터 누적되다가 중년기 이후 질병으로 이어지므로, 젊은 시절부터 위험인자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호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젊은 시절 심혈관 건강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장기 추적해 질병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했다"며 "심뇌혈관질환 예방 전략을 수립할 때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포괄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저널 심장학'(JAMA Cardiology)에 게재됐다.

[세브란스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대면진료, 다시 의원급서만 가능…1형 당뇨환자는 병원급 허용
보건의료 위기경보 '심각' 단계가 해제됨에 따라 심각 단계에서 전면 허용됐던 비대면진료도 의원급 중심 시범사업 체제로 되돌아간다. 다만, 1형 당뇨환자는 지금처럼 병원급에서도 계속 비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0일 이뤄진 심각 단계 해제에 맞춰 오는 27일부터 변경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기준을 적용한다.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은 코로나19 시기부터 약 5년 8개월 동안 시행되고 있다. 의원급 재진(再診) 환자가 원칙이지만, 의정 갈등으로 비상진료체계가 시행되면서 지난해 2월부턴 병원급 이상, 초진(初診) 환자에 대해서도 전면 허용돼왔다. 심각 단계와 비상진료체계 해제로 27일부터는 다시 의원급 의료기관 중심으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이 운영되며, 비대면진료 전문 의료기관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진료 중 비대면진료 비율은 30%로 제한된다. 심각 단계 이전에도 희귀질환자나 수술·치료 후 지속적 관리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의 비대면진료가 허용됐는데, 27일부턴 여기에 더해 1형 당뇨병 환자의 병원급 비대면진료도 예외적으로 허용한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 베타세포가 면역체계의 공격으로 파괴돼 인슐린이 아주 적게 분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