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 우울 등 정신건강 위기…5년간 진료 30% 늘어"

김선민 의원 "자립준비청년 대상 체계적 정신건강 관리 필요"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로 병의원을 찾은 자립준비청년이 5년간 3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립준비청년은 보호자가 없거나 보호자가 직접 양육하기 어려워 아동복지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보호받다가 18세 이후 보호가 종료된 청년이다.

 보호종료아동이라고도 불린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2024년 12월 기준 자립수당 지급 대상자 8천501명의 최근 5년(2020∼2024년) 정신건강 진료 이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2021년에는 진료 인원이 전년 대비 19.7% 증가했으며, 2023년에 잠시 감소했다가 지난해 다시 9.5%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자립준비청년을 건강보험 가입자(4천955명)와 의료급여 수급자(3천546명)로 나눠 살펴보면 증가 폭은 건보 가입자에게서 컸으나, 전체 진료 인원 자체는 경제적으로 더 취약한 의료급여 수급자에 많았다.

 건강보험 가입자 중 정신건강 문제로 진료받은 경우는 2020년 75명에서 2024년 326명으로 5년간 약 4배 이상 뛰었다.

 의료급여 수급자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500∼600명이 정신건강 문제로 병의원에서 진료받았다. 이 기간 2020년 612명에서 2024년 572명으로 6.5%가량 감소했으나, 진료 인원 규모 자체가 건보 가입자를 크게 웃돌고 있다.

 질환 종류별로 보면 지난해 기준 감정 상태의 비정상적 변화와 우울증 등이 동반된 '정동장애'로 진료받은 경우가 583명으로 가장 많았다.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 두 집단 모두 마찬가지였다.

 김선민 의원은 "자립준비청년의 정신건강 문제는 자립 이전부터 전 과정에 걸쳐 누적되는 구조적 문제"라며 "보호 단계부터 자립 이후까지 단계별로 개입하는 체계적 정신건강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선민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영유아 수술 후 손목 요골동맥 폐색 합병증 예방법 찾았다
손목의 바깥쪽에 있는 요골동맥은 수술 중 혈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맥관이 주로 삽입되는 혈관이다. 그러나 영유아 환자의 60% 이상은 수술 후 이 혈관의 혈류가 막히는 요골동맥 폐색을 경험하는데, 국내 연구진이 이를 3분의 1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요골동맥 폐색은 신체의 끝부분에 혈액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는 말초 허혈, 피부 조직이 손상되는 피부 괴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그동안에는 명확한 예방법이 없었다.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장영은·박정빈 교수팀은 혈관확장제 '니트로글리세린'을 이용해 영유아의 요골동맥 폐색 발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2022년부터 최근까지 이 병원에서 전신마취 하에 수술받은 3세 미만 환자 132명을 처치군(67명)과 대조군(65명)으로 무작위 배정한 뒤, 동맥관 삽입·제거 시 니트로글리세린 희석액과 식염수를 각각 피하 주사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처치군의 요골동맥 폐색 발생률은 25.4%로, 대조군(73.8%)의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처치군에서 저혈압, 국소 부위 출혈 등 혈관확장제의 주요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또한 동맥관 제거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