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 세계 위탁생산 3위…론자·우시 뒤이어

2024년 시장 점유율 7∼9%…16억달러 매출
글로벌 CMO 시장 2030년까지 341억달러로 확대

  글로벌 위탁생산(CMO) 시장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론자, 우시 바이오로직스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최근 미국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 등을 인용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MO 시장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서 이렇게 전했다.

 작년 기준 주요 기업별 바이오의약품 CMO 규모는 스위스 론자(42억달러), 중국 우시 바이오로직스(18억달러), 삼성바이오로직스(16억달러), 미국 써모피셔사이언티픽(16억달러), 미국 애브비(11억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 상위 5개 기업이 바이오의약품 CMO 시장의 50∼55%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다.

 보고서는 앞으로도 CMO 시장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작년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MO 시장은 205억 달러를 기록했고 올해부터 향후 6년간 연평균 8.8% 성장해 2030년에는 341억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서비스별로 보면 제조 서비스가 94억달러, 제형 및 충전·마감 서비스가 63억달러, 포장 및 라벨 링 서비스 28억달러, 기타 서비스가 21억달러 규모를 형성했다.

 제조 서비스가 가장 큰 시장을 차지한 배경으로는 바이오의약품 및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수요 증가, 바이오의약품의 복잡한 구조 등이 지목됐다.

 유형별로는 작년 원료의약품 제조가 127억달러, 완제의약품 제조가 78억달러였다.

 분자 유형별 바이오의약품 CMO 시장은 단일클론항체 89억달러, 세포 및 유전자치료 51억달러, 항체·약물 접합체 21억 달러 등 순이었다.

 보고서는 "단일클론항체 점유율은 질병 유병률 증가 등에, 항체·약물 접합체 점유율은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투자 급증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치료 분야별로는 종양학이 78억달러로 규모가 컸다. 이어 기타 치료 분야 45억달러, 자가면역 질환 26억달러, 대사 질환 18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태평양 시장 규모가 56억달러로 북미(75억달러), 유럽(61억달러)에 이어 3위였다.

 보고서는 "아시아태평양은 27.2% 점유율을 차지했다"며 "이는 의약품 제조 아웃소싱 협력 증가, 시장 내 파트너십 확대, 지역 내 주요 기업의 지리적 확장 등에 따른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경우 작년 CMO 규모 6억달러를 기록했고 2030년까지 연평균 8% 성장해 10.2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귀 전공의, 전문의·레지던트 조기응시에 '특혜·역차별' 논란
지난 9월 병원으로 복귀한 전공의들에 대해 정부가 내년 초 전문의 시험과 레지던트 모집에 미리 응시할 수 있게 허용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수련 종료 전에 전문의 시험 등을 미리 치른 후 8월까지 남은 수련을 이어가게 한다는 것인데 과도한 특혜라는 비판과 더불어 미리 복귀한 전공의들과의 형평성 논란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수련협의체 논의 등을 거쳐 이 같은 방침을 정하고 이번 주중 최종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최근 전공의 회원들에게 '졸국년차의 경우 일부 응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도 조건부 인정자로 분류되면 2026년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레지던트 1년차는 상·하반기 인턴을 통합해 선발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했다 지난 9월 수련을 재개한 인턴이나 레지던트 마지막 연차는 내년 8월에 수련을 마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통상 내년 초(2월)에 치러지는 전문의 시험이나 레지던트 모집에 응할 수 없다. 수련 종료 후 6개월가량 더 기다려 내후년 초에 지원해야 한다. 올해 3월 복귀자의 경우 내년 초 정상적으로 응시가 가능하다. 6월 복귀자의 경우 인턴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