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비만율 3년간 현저히 감소…GLP-1 기반 치료제 사용확대 영향?

갤럽 보고서, 美 성인비만율 2022년 39.9%→올해 37.0%로 줄어

 미국에서 체중 감량을 위해 '위고비'나 '오젬픽'과 같은 GLP-1 기반 치료제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최근 3년간 비만율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31일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갤럽이 최근 발표한 '미국 전국 건강 및 웰빙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미국 성인 가운데 비만으로 분류된 사람은 37.0%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2년 조사에서 미국 성인의 비만율이 역대 최고치인 39.9%를 기록했던 것에서 3% 포인트 가까이 많이 감소한 것이다.

 갤럽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비만율은 2022년 39.9% 이후 2023년 38.4%, 2024년 37.5%, 올해 37.0%로 점진적으로 감소해왔다.

 갤럽은 체질량지수(BMI) 30 이상인 사람을 비만으로 분류하고 있다.

 BMI지수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지난 3년간 미국의 성인 비만율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은 GLP-1 기반의 비만치료제 사용이 늘어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GLP-1은 음식 섭취 후 소장의 L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을 안정시키고 식욕을 억제함으로써 체중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당뇨병과 비만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체중 감량을 위해 GLP-1 주사를 맞은 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12.4%로 지난 2024년 2월 조사 때(5.8%)의 두 배를 넘었다.

 특히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GLP-1 사용 비율이 더 높고, 비만율 또한 남성보다 더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미국 성인 여성의 15.2%(2024년 조사에선 6.9%)가 체중 감량 주사를 맞은 적이 있다고 답한 반면에 남성은 9.7%(2024년 조사 땐 4.7%)가 맞았다고 밝혔다.

 미국 성인 여성의 비만율은 2022년 조사 때보다 3.5% 포인트 감소한 38.8%였고, 남성의 비만율은 2.3% 포인트 줄어든 35.2%였다.

 이번 조사 결과는 올해 세 차례에 걸쳐 모두 1만6천946명의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3건의 데이터를 종합해 도출했으며 오차범위는 ±0.9%라고 갤럽은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진행암 환자, 임종 3개월 전부터 광범위항생제 사용 급증"
말기 진행암 환자의 임종 직전 '광범위 항생제' 사용이 급증하는 경향이 있어 불필요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는 치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와 이대목동병원 김정한 교수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2002년~2021년 수집된 진행암 환자 51만5천여명의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광범위 항생제 사용 실태를 분석했다. 광범위 항생제는 여러 가지 세균에 효과를 가진 항생제다. 항생제 내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데 강력한 효과 때문에 정상 세균까지 공격할 수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고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진행암 말기 환자는 실제 감염이 없어도 발열이나 염증 수치만으로 광범위 항생제를 처방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내성균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은 물론, 더 고강도 항생제를 써야 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연구팀이 분석한 결과 임종 전 6개월간 조사 대상의 절반 이상인 55.9%가 이러한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시기를 ▲ 임종 직전 1주 ▲ 임종 직전 1~2주 ▲ 임종 직전 2주~1개월 ▲ 임종 직전 1개월~3개월 ▲ 임종 직전 3개월~6개월 등 5개 구간으로 나눠 살펴봤더니 광범위 항생제 사용률은 임종 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