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보다 고교생이 학교생활만족도 낮아…학업·교우관계 영향

"동아리·체육활동 다양화하고 강사·예산 지원하는 정책 필요"

 초등학생보다 고교생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교사·친구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령별 만족도는 2018년 조사 당시에도 9~11세가 7.54점, 12~17세가 7.21점으로 나이가 들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0.33점에서 더 늘었다.

 학교급별로도 비슷한 양상이었는데 2023년 기준 만족도는 초등학생이 7.64점으로 가장 높은 반면 중학생은 7.20점, 고등학생은 7.02점으로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떨어졌다.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가운데 학업 스트레스는 초등학생이 1.70점으로 가장 낮았던 반면, 중학생은 2.07점, 고등학생은 2.14점으로 점차 높아졌다.

 이에 비해 선생님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는 초등학교에서 각 4.00점, 4.03점으로 제일 좋았고, 고등학교에서 각 3.82점, 3.96점으로 제일 좋지 않았다.

 다만, 학교폭력 피해 수준은 중학교에서 7.83점으로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에서 7.70점, 고등학교에서 7.71점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피해 정도는 학교생활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인 반면, 친구·선생님과의 관계, 교내 동아리 참여 경험 등이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봤다.

 특히 친구·선생님과의 관계는 효과 크기를 고려할 때 다른 변인들보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했다.

 그런가 하면 성별로 나눠 살펴봤을 때 남아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7.40점, 여아의 만족도는 7.25점으로 여아의 만족도가 더 낮았다.

 2018년 조사 당시 남아의 만족도(7.28점)가 여아(7.37점)보다 낮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소득별로는 ▲ 중위소득 150% 이상 7.63점 ▲ 중위소득 100~150% 미만 7.35점 ▲ 중위소득 50~100% 미만 7.19점 ▲ 중위소득 50% 미만 6.84점으로 가구의 소득이 낮을수록 아동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생보다 고교생이 학교생활만족도 낮아…학업·교우관계 영향 - 2

 연구진은 우리나라 아동 전체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고등학교 아동의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당연히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 수밖에 없지만 교우·교사와의 긍정적 관계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필요하다"며 "아동의 욕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동아리, 스포츠 등의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강사와 예산 등을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과잉비급여 본인부담 95% 건보급여로 편입…정부시행령 입법예고
보건복지부는 일부 과잉 우려가 큰 비급여를 관리하기 위한 선별급여(관리급여) 근거 조항을 추가한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을 내달 17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7일 밝혔다.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선별급여란 경제성이나 치료 효과 등이 불확실해 추가 근거가 필요하거나, 경제성이 낮아도 가입자와 피부양자의 건강회복에 잠재적 이득이 있어 따로 지정된 예비적 요양급여를 말한다. 이번 시행령 개정안에서는 이러한 선별급여의 유형으로 '사회적 편익 제고를 목적으로 적정 의료이용을 위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가 추가됐다. 이 사유로 지정된 선별급여의 본인부담률은 95%로 책정될 예정이다. 복지부는 해당 조항은 비급여관리정책협의체를 통해 의료계·환자·소비자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했으며 과잉 우려가 큰 비급여를 적정 관리해 국민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정안은 또한 원칙적으로 5년으로 정해져 있는 선별급여 적합성 평가 주기를 복지부 장관이 선별급여의 내용·성격 등을 고려해 달리 정할 수 있도록 조문을 정비했다. 정부는 올해 초 도수치료 등 과잉·남용 우려가 큰 일부 비급여 진료에 대한 선별급여인 '관리급여'를 신설해 건강보험 체계로 편입시키고 별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흔히 먹는 당뇨약이 파킨슨병 진행 막는다"
흔히 쓰는 당뇨병 치료제가 파킨슨병 진행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필휴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와 정승호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교수, 김연주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먹는 형태의 당뇨병 치료제인 DPP-4 억제제가 장내 파킨슨병 유발 단백질 축적을 차단해 발병과 진행을 억제하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은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에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쌓여 발생한다. 뇌에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쌓이는 뚜렷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최근에는 해당 단백질 응집체가 장에서 시작해 미주신경을 따라 뇌로 이동한다는 '장-뇌 연결 축' 가설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DPP-4 억제제 '시타글립틴'이 인슐린 분비를 늘리고 혈당을 낮추는 것 외에도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가진다는 점에 착안해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도파민 신경세포를 손상하는 로테논을 실험용 마우스에 투여해 파킨슨병을 유발했다. 마우스를 로테논에 지속해서 노출하면 알파-시누클레인 응집체가 장-뇌 연결 축을 따라 이동하고 6개월 이후에는 도파민 신경세포 손상과 함께 떨림, 경직 등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난다. 이후 마우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