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사설](17일 조간)

▲ 경향신문 = 사설휴간

▲ 국민일보 = 팩트시트는 협상의 끝 아냐, 국익 중심 후속조치 나와야

AI 대필 논문 급증… 진짜-가짜 구분 흐려진 상아탑

'지역의사제' '성분명 처방' 다 반대… 의료계 대안은 뭔가

▲ 서울신문 = 한미 팩트시트 통상·안보 남은 과제… '빈칸' 잘 채워야

검사 파면법·검사장 평검사 강등… 검찰 겁박 도 넘었다

무당층보다 지지율 낮은 국민의힘, 수권정당 포기했나

▲ 세계일보 = 韓·美 '팩트시트' 합의… 협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특검 잇따른 영장 기각, 과잉 수사 아닌지 돌아보길

무당층보다 적은 국힘 지지자, '尹 단절' 없이 미래 있나

▲ 아시아투데이 = "대미투자로 국내 위축 안되게" 李·재계 한목소리

대장동 "자산동결 해제" 남욱, 국가배상 청구하겠다니

▲ 조선일보 = 63만명이 "그냥 쉰다", 국가적 재앙 될 청년 실업

'항소 포기' 수사 의지 없는 경찰, 방법은 특검뿐

"말 안 들으면 불이익" 법원·검찰 길들이겠다 는 건가

▲ 중앙일보 = 대규모 대미 투자, 한국 기업 기회 확대로 연결돼야

'내란 극복' 이유로 공직사회 위축은 없어야 한다

▲ 한겨레 = '미군 지원 48조원', 국민에게 제대로 설명해야

고비 넘긴 관세협상, 이행에서도 손해 없게 해야

내란 영장 잇단 기각, 국민이 납득하겠나

▲ 한국일보 = 입 꾹 닫고 떠난 노만석… 권력에 수그린 검찰 현주소

울산 사고에도 대통령 불호령, 처벌만으론 재발 못 막아

한강버스 재운항 보름 만에 '쿵' … 뭐가 그리 급한가

▲ 글로벌이코노믹 = 협력·경쟁전략 필요한 '사나에노믹스'

부실기업 정리해야 생산적 금융 가능

▲ 대한경제 = 심상치 않은 환율 상승… 시름 깊어지는 건설업계

재차 확인된 공공주도의 한계, 민간부문 외면해선 답 없다

▲ 디지털타임스 = 기업공시 개선, 방향 맞지만 요식행위면 시장신뢰 더 떨어져

728조 예산 증감심사 돌입… 촘촘히 따져 '빚잔치' 막아야

▲ 매일경제 = "10년내 신차 90% 친환경차로" … 車산업 고사시킬 건가

"주한미군 현 수준 유지" 삭제…대북 억지력 빈틈없어야

대통령·재계 회동…대미투자 부담 '국익 전환' 해법 찾을 때

▲ 브릿지경제 = 한·미 '팩트시트'에 남은 '디테일'도 살펴야

▲ 서울경제 = 中日 갈등 커지는 지금 동북아 3국 표기 '한중일'로 바꾼 정부

예산안 증감 심사 돌입, '현금 살포' 깎고 '산업 지원' 증액을

李 "경제 문제 해결 첨병은 기업"…경영 걸림돌 싹 걷어내야

▲ 이데일리 = 또다시 의정 갈등인가… 긴밀한 협의로 쟁점 풀어가길

어디로 튈지 모르는 주가, 증시의 정치화 경계해야

▲ 이투데이 = 휠체어 접근 지도가 모든 학교에 있다면

▲ 전자신문 = 팩트시트를 '성장시트'로 만들자

▲ 파이낸셜뉴스 = 10·15 대책 한달, 부작용 살펴 보완책 내놓아야

한미 무역·안보 '윈-윈 합의', 과제는 여전히 많다

▲ 한국경제 = 사회연대경제기본법 추진, 예산 빼먹기로 흐를 공산 크다

부품 협력사 관세 전액 떠안겠다는 현대차의 포용 경영

'국가 총력전' 대미 투자, 반드시 성공시켜야

▲ 경북신문 = 경북도가 AI협력의 중심지로 급부상

▲ 경북일보 = 국가 R&D 예산 수도권 집중…분배 바로잡아야

철강 관세 50% 확정…정부·국회 대응 급하다

▲ 대경일보 = 계절성 노인독감의 위험성

'대통령상' 복원된 '정수대전' … 화합의 상징되길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의사제 도입 논의 가속…이르면 27학번부터 정원내 특별전형
지역의 의료 인력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의사제 도입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다. 의대 신입생 중 일정 비율을 지역의사선발전형으로 뽑아 졸업 후 일정 기간 지역에서 의무 복무하게 하는 것으로, 입법이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이르면 2027학번부터 해당 전형 신입생 선발이 이뤄질 전망이다. ◇ 의대 졸업 후 지역서 10년간 의무복무…4개 법안 논의 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17일 입법 공청회를 열고 현재 발의된 지역의사 양성 관련 법률안 4개에 대한 의료계, 법조계, 환자단체 관계자 등의 의견을 청취한다. 지역의사제 도입은 공공의료사관학교 설립 등과 더불어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로,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지난 9일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지역의사제 도입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발의된 법안은 민주당 이수진·김원이·강선우 의원, 국민의힘 박덕흠 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것으로, 지역의사선발전형으로 들어온 의대 신입생들에게 학비 등을 지원한 후 의무복무하게 한다는 골격은 비슷하다. 이들 법안을 바탕으로 지난 9월 정부가 국회가 제출한 수정 대안은 의대 정원 내에서 일정 비율로 선발해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 학비 등을 지원하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