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희(향년 90세)씨 별세, 권효숙(방송통신대 강사)·권영진(킨드릴코리아 부장)·권영준(성균관대 의학과 명예교수·예손병원 원장)·권영재(노바코랜드 전무)씨 모친상 = 18일 오후 10시30분,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2호실, 발인 21일 오전 6시20분, 장지 양평 별그리다공원. ☎ 02-2227-7500 (서울=연합뉴스)
▲ 이영희 씨 별세, 금도수(대원제약 제품개발2부 이사)씨 모친상 = 13일, 경북 안동시 안동병원장례식장 10분향실, 발인 16일 오전 8시, 장지 경북 영양군 석보면. ☎ 054-840-0030
1988년 국내 최초로 간이식 수술에 성공한 김수태(金洙泰) 서울대 외과 명예교수가 4일 0시5분께 서울대병원에서 폐렴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전했다. 향년 만 95세. 전남 무안에서 태어난 김 교수는 1952년 서울대 의대와 대학원을 졸업했다. 1966∼1967년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암 연구를 하던 중 '병든 간을 고칠 수 없으면 건강한 간으로 교체하면 될 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하고 장기이식의 길을 택했다. 마침 1967년 미국 덴버대학에서 간이식에 성공한 걸 보고 결심을 굳혔다. 1970년 7월부터 1년간 미국 콜로라도대 외과의 토머스 스타즐(1926∼2017) 교수팀에 합류하여 신장·간 이식의 임상과 동물실험을 보고 배웠고, 1969년 개 간이식 실험을 시작, 3년 동안 150여회를 되풀이한 끝에 1972년 개 간이식에 성공(67일간 생존)했다. 1977년 9월 국내에도 장기이식연구회가 발족했고, 고인이 1978년 9월 국제이식학회 회원이 되면서 간이식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고인이 이끄는 서울대병원 외과팀은 뇌사자 관리에 관한 법적 뒷받침이 없던 1988년 3월16일 오후 6시부터 3월17일 오전 4시30분까지 장장 10시간30분의 대수술 끝에
한국 분자생물학과 유전공학의 토대를 마련한 박상대 서울대 명예교수가 지난 20일 별세했다. 향년 88세. 대한민국학술원에 따르면 고인은 서울대 문리대 동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세인트존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7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처장, 유전공학연구소장 등을 지냈고 분자생물학과와 생명과학부에서 후학을 양성했다. 한국유전학회장, 한국분자생물학회장, 한국동물학회장,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등 과학계에서 다양한 활동도 펼쳤다. 고인은 지금의 한국 생명과학이 있기까지 큰 공을 세운 학자로 평가받는다. 1989년 창립을 주도한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현재 약 1만8천600명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국내 생명과학 분야 최초의 과학기술인용색인(SCI) 등재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다. 고인은 여성 과학자를 키우기 위해 사재를 출연해 '여성생명과학자상'을 만들기도 했다. 2016년 제정된 상은 매년 우수한 성과를 낸 여성 과학자를 선정해 포상한다. 그는 UN개발계획(UNDP)의 주도하에 설립된 비영리 국제기구인 국제백신연구소(IVI)를 한국에 유치하는 데 앞장섰으며 한국후원회장과 이사장을 맡아
▲ 김향자씨 별세, 구자민(경보제약 전무)씨 모친상 = 11일, 인천성모병원 장례식장 5호실, 발인 13일, 장지 인천가족공원. ☎ 032-517-0710
C형 간염 등 간 질환 연구에 헌신하는 한편 '인간성 회복' 운동에도 힘쓴 김부성(金富成) 가톨릭대 명예교수가 11일 오후 4시20분께 서울 구파발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전했다. 향년 만 87세.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가톨릭대 의대 1회 졸업생이다. 1971년부터 모교 내과 조교수가 된 뒤 '한국형 C형 간염과 원발성 간암의 위험인자'라는 논문을 발표하는 등 C형 간염 연구를 선도했다. 대한간학회·대한소화기학회·대한내과학회 회장을 비롯해 아시아태평양 간학회 사무총장, WHO 간염연구소 한국 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1988∼1990년에는 대한간학회 회장을 지냈다. 또 1990년 사단법인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를 만든 뒤 '나부터, 한번 생각, 두번 봉사, 세번 희생'이라고 쓴 차량 스티커를 배포하거나 시골 벽지 초등학교 어린이에게 '사랑의 일기장' 보내기 운동을 벌이는 등 '인간성 회복'과 '더불어 사는 사회' 만들기에 힘썼다. 가톨릭의대 부속 강남성모병원 원장을 시작으로 경영인의 길을 걷기 시작, 2001년 순천향대 부천병원 초대 원장으로 취임했고, 순천향대 의무부총장 겸 중앙의료원장, 학교법인 동은학원 이사장, 대한병원협회 부회장 등을
이종호 JW그룹 명예회장이 30일 오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0세. JW그룹에 따르면 이 명예회장은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던 중 전날 병세가 급격히 악화해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면에 들었다. 고인은 1945년 조선중외제약소(JW중외제약 전신)를 창립한 이기석 창업주의 차남으로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났다. 서울고등학교와 동국대 법학과를 거쳐 고려대 경영대학원을 수료한 그는 1966년부터 회사 경영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이 회장은 1969년 국내 최초이자 세계 두 번째 합성 항생제인 '리지노마이신' 개발을 이끌었다. 리지노마이신은 1973년 영국 약전에 수록되기도 하며 경영 위기로 어렵던 회사를 일으켰다. 이후 1960년대 후반부터는 머크, 애보트 등 유럽과 미국의 주요 제약사와 기술 제휴를 맺으며 전문의약품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했다. 이 회장은 이윤이 별로 남지 않는 수액 사업에 지속해 투자하며 2019년 종합영양수액 '위너프' 완제품을 아시아권 제약사 최초로 유럽에 수출하는 기반을 닦았다. 1975년 중외제약 사장으로 취임한 이 회장은 신약 개발의 중요성을 항상 강조했다. 그러면서 1992년에는 국내 최초의 합작 바이오벤처 C&C신
▲ 최동안(전 육군 대령)씨 별세, 최광섭·최인섭(철원무역 대표)씨 부친상, 박창식(재미)·고동규(재뉴질랜드)·김호성(세브란스 어린이병원장)씨 장인상 = 13일 낮 12시 36분,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1호실(14일부터 3호실), 발인 15일 오전 9시. ☎ 02-2227-7547
[부고] 김재중(서울아산병원 교육부원장)씨 모친상 ▲ 김순동(개원여중 교장)씨 별세, 김명희·김재중(서울아산병원 교육부원장)·김희중씨 모친상, 정혜림(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씨 시모상, 정한수씨 장모상 = 15일 오후 10시55분,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23호실, 발인 18일 오전 6시20분, 장지 대전현충원. ☎ 02-3010-2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