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서부에 응급의료센터 갖춘 종합병원 건립…숙원 해결

 경기도 평택시 서부지역에 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한 종합병원이 건립된다.

평택시는 15일 서평택 화양도시개발사업지구에 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한 종합병원을 건립하기 위해 허리편한병원, 화양지구 조합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평택시는 적극적인 행정 지원을 하고, 허리편한병원은 화양지구에 종합병원을 건립한다.

화양지구 조합은 병원 부지를 합리적인 수준의 가격으로 병원 측에 제공하기로 했다.

허리편한병원은 9천900㎡ 부지에 연면적 2만2천여㎡, 지하 4층~지상 10층 규모의 종합병원을 지을 계획이다.

내과를 비롯한 16개 진료과목, 350개 병상을 갖춰 2024년 10월 개원을 목표로 한다.

새로 건립되는 종합병원에는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인력과 행정요원 등 550명이 상주할 예정이다.

이 병원은 응급의료센터는 물론 인공신장실, 뇌·심혈관 센터, 음압시설 수술센터, 영상의학센터 등을 갖춘 서평택 거점 의료시설이 될 전망이다.

현재 평택에는 응급의료센터가 2곳 있으나 모두 남부지역에 몰려 있어 서부지역에서 중증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골든타임을 지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서부지역뿐 아니라 인접한 충남 아산·당진 주민들도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며 "서부 지역 숙원사업인 만큼 병원 건립을 위한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혈관질환자 중강도 이상 운동 꾸준히 하면 재발위험 13%↓"
심혈관질환 환자 중엔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우려에 운동을 꺼리는 경우가 있지만, 오히려 꾸준한 운동이 재발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이 병원 권준교 교수팀이 이런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영국 스포츠의학 저널'에 최근 게재했다고 14일 밝혔다. 권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10∼2017년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을 진단받고 관상동맥중재술이나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20세 이상 환자 3만여 명의 운동량 변화와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6.7년간 추적 관찰했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혈관 내에 급성으로 생긴 크고 작은 혈전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혈관이 폐쇄되거나, 혈전에서 분비된 혈관 수축성 물질로 인해 심장에 혈류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 결과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진단을 받기 전과 후에 주 1회 30분 이상 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가볍게 뛰기 등의 '중강도 이상 운동'을 한 그룹의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은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그룹보다 13% 낮았다. 진단받은 후에 새롭게 운동을 시작하더라도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메디칼산업

더보기
트럼프 타깃 된 '약값'…美 vs 韓·日·유럽 제도 어떻게 다르길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하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글로벌 제약사뿐 아니라 외국 정부들도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유럽이 내는 만큼 낼 것"이라며 미국의 약값을 유럽 등 다른 선진국 수준으로 평준화하겠다고 밝혔다. 비싸기로 악명 높은 미국 약값을 다른 나라 최저가 수준으로 낮춘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부터 공언해온 내용이지만, 당시엔 제약업계의 반발 등으로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 같은 약인데도, 심지어 미국 제약사의 약인데도 미국 내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비싼 것은 약가 결정 체계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미국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다른 국가보다 약값에 있어 국가 통제력이 약하다. 가령 우리나라의 약값 결정 구조를 보면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의약품의 경우 제약사나 약국이 자체적으로 가격을 책정하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의약품이라면 복잡한 절차를 거친다. 제약사가 신약에 대한 급여 적용을 신청하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가 등재 여부를 심의한다. 여기서 통과되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약사와 약가 협상을 벌이고 건강보험 정책 최고 심의기구인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