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요양시설 입소 9년새 26%↓…"자립훈련 등 기능 전환 필요"

복지부, 정신요양시설 포함 복지지원체계 개편

 만성 정신질환자의 보호 등을 맡는 정신요양시설의 입소자가 최근 들어 급감하면서 시설 기능을 전환하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1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신요양시설 입소자는 2015년 1만477명에서 작년 6월 7천726명으로 9년 새 26.3%가량 감소했다.

 이 가운데 자기 뜻에 따라 입소하지 않은 환자 비율은 같은 기간 85.9%에서 9.4%로 급감했다.

 복지부는 정신요양시설 중 유휴 공간이 상당할 것으로 추정되는 시설은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자립 훈련 프로그램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자립 훈련 프로그램은 시설 입소자에게 교육과 직업 재활 등을 집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경제적·사회적 독립을 지원한다.

 이상원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정신건강정책의 패러다임은 '시설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전환 중"이라며 "정신요양시설이 중증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와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