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요양시설 입소 9년새 26%↓…"자립훈련 등 기능 전환 필요"

복지부, 정신요양시설 포함 복지지원체계 개편

 만성 정신질환자의 보호 등을 맡는 정신요양시설의 입소자가 최근 들어 급감하면서 시설 기능을 전환하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1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신요양시설 입소자는 2015년 1만477명에서 작년 6월 7천726명으로 9년 새 26.3%가량 감소했다.

 이 가운데 자기 뜻에 따라 입소하지 않은 환자 비율은 같은 기간 85.9%에서 9.4%로 급감했다.

 복지부는 정신요양시설 중 유휴 공간이 상당할 것으로 추정되는 시설은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자립 훈련 프로그램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자립 훈련 프로그램은 시설 입소자에게 교육과 직업 재활 등을 집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경제적·사회적 독립을 지원한다.

 이상원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정신건강정책의 패러다임은 '시설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전환 중"이라며 "정신요양시설이 중증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와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의료 '복합위기' 직면…국책연구기관, 시스템 붕괴 경고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가 의사 인력의 불균형, 왜곡된 의료 전달체계, 불공정한 보상 구조라는 삼중고에 직면했으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시스템 붕괴라는 연쇄적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종합 진단이 나왔다. 국책연구기관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24시간 의료 길잡이' 서비스 도입과 같은 구체적인 미래상을 제시하며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26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한국 보건의료는 개별적 문제가 아닌 여러 위기가 중첩된 '복합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보고서가 지적한 위기의 핵심은 의료인력의 극심한 불균형이다. 2024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충원율을 보면, 소아청소년과는 26.2%, 심장혈관흉부외과는 38.1%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다. 반면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등 소위 '인기 과목'은 100% 충원율을 기록하며 의사 인력이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를 외면하는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지역 간 의료 격차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수도권의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