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 여성 건강 '적신호'…17.8%가 동반 질환"

분당차병원 난임센터, 난임 여성 3천여명 분석결과

 난임 여성 6명 중 1명 이상이 다른 만성질환을 함께 앓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난임센터는 11월 센터 확장 개소를 앞두고 지난해 임신에 어려움을 겪어 병원을 처음 찾은 여성 3천373명의 진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7.8%(601명)가 1개 이상의 기저질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동반 질환으로는 심전도 이상,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고지혈증 등 심장·대사질환이 28.0%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갑상선질환과 당뇨병 등 내분비질환이 27.2%를 차지했고, 난임과 연관성이 큰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등 부인과질환을 가진 경우도 15.7%에 달했다.

이외에 류머티즘성 관절염과 호흡기질환이 각각 7.1%였고, 많지는 않지만 간질환, 혈액종양, 수면장애 등을 동반한 여성들도 있었다.

분당차병원 난임센터 권황 소장은 "예전보다 난임으로 병원을 찾는 여성의 나이가 고령화되면서 여러 기저 질환을 동반한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라며 "특히 심장 관련 질환과 당뇨병, 갑상선질환, 부인과질환이 늘어나는 게 눈에 띄는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임신을 계획하고 있다면 자궁의 착상 능력을 떨어뜨려 난임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갑상선질환과 부인과질환에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권 소장은 이 중에서도 비정상적인 자궁내막 조직에 의해 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자궁선근증'을 요즘 증가하는 난임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이 질환은 빈혈을 동반하는 생리 과다와 생리통, 골반통 등이 대표적 증상이다.

권 소장은 "자궁선근증이 있다면 먼저 수술로 치료할지, 임신을 시도한 후 진행 정도를 봐가며 치료할지를 결정하는 게 임신 성공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사소해 보이는 질환이라 할지라도 난임 치료 전부터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임신 후에도 산후 합병증이나 태아 합병증 없이 안전하게 출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부, 전공의 복귀 길 터준다…이달 말까지 추가모집
정부가 전문의 수급 차질을 막고 의료공백 상황을 해소하고자 사직 전공의 복귀를 위한 문을 열어주기로 했다. 통상 전공의 수련은 3월과 9월에 각각 상·하반기 일정을 게시하지만, 복귀를 희망할 경우 하반기 정기모집 전에도 돌아올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대한의학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수련 현장의 건의에 따라 오는 20일부터 이달 말까지 전공의를 추가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추가모집은 수련병원별로 자율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지원 자격과 절차는 대한병원협회 홈페이지에 공지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추가 모집에서 사직 전공의가 1년 이내 동일 연차·과목에 복귀할 수 없게 하는 규정에 다시 한번 예외를 주는 수련특례를 적용할 계획이다. 복귀를 택하는 군 미필 전공의의 경우 입영을 연기할 수 있도록 병무청과도 적극적으로 협의한다. 미필 전공의의 경우 사직과 함께 입영대기 상태가 됐기 때문에 이번에 복귀하더라도 내년이나 내후년 영장이 나오면 곧바로 입대해야 할 수도 있지만, 복귀할 경우 도중에 입대하지 않고 수련을 이어갈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입영 특례를 보장한다기보다는 이번에 복귀한 전공의의 경우 최대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생아의 빠른 심박도 재현 가능한 심혈관 모사 장치 개발
신생아의 빠르게 뛰는 심장박동까지 재현할 수 있는 심혈관 모사 장치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경희대 박윤석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모사한 소프트 심장 밸브와 고정밀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을 위해 인체의 혈압과 맥압 변화를 인공적으로 구현한 심혈관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기존 기계식 밸브나 유압 펌프 방식의 심혈관 시뮬레이터는 부피가 크고 정밀 제어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신생아나 소아의 빠른 심박수와 고강도 운동 중 발생하는 부정맥 등 병리적 상태까지 구현하기 위해서는 응답 속도와 정밀도가 높은 밸브 시스템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사람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본뜬 소프트 자성 밸브와 자성 심장판막을 핵심기술로 하는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3개의 판막엽으로 구성된 심장 대동맥 판막은 수축·이완기 심장 박동에 따라 혈액을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데, 이 3엽 구조를 닮은 자성 심장판막과 소프트 자성 밸브가 외부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마치 대동맥 판막처럼 자연스레 열리고 닫히게 된다. 유연성과 복원력이 우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