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여성, 하체 근육량 많을수록 골다공증 위험 낮다"

서울아산병원, 폐성 여성 279명 분석…"걷기·근육운동 병행 바람직"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폐경기 여성들도 평소 운동으로 하체 근육을 강화하면 골다공증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고정민·이승훈 교수팀은 폐경 여성 279명(평균 나이 58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근육량과 골밀도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1일 밝혔다.

전체 조사 대상 여성의 골다공증과 근감소증 유병률은 각각 50.2%(140명), 21.5%(60명)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신 근육량이 많을수록 뼈의 골밀도가 높아지고, 골다공증 위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런 연관성은 넓적다리처럼 뼈를 둘러싸고 있는 근육의 양이 많은 부위에서 두드러졌다.

연구팀은 팔, 다리의 근육량이 1㎏ 증가할 때마다 넓적다리의 골다공증 위험도가 26% 감소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고정민 교수는 "그동안 근육과 뼈의 상호작용에 대한 논란이 많았지만, 이번 연구로 뼈가 근육에 많이 둘러싸여 있을수록 골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힌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골다공증은 뼈가 약해져 쉽게 부러질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50∼70대 여성이 가장 취약하다. 건축물의 철골 역할을 하는 뼛속 물질이 폐경을 전후해 급격히 빠지기 시작하는데, 이게 노년기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령대의 여성은 정기적으로 골다공증 검진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승훈 교수는 "여성들은 평소 하체 근육 운동을 꾸준히 해 뼈를 튼튼하게 해야 한다"면서 "특히 폐경을 앞둔 40세 이상 여성이라면 걷기, 등산과 함께 스쿼트 등 근육 운동을 병행함으로써 골다공증을 적극적으로 예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골다공증 관련 국제학술지 '국제 석회화 조직 학회지'(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최근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피로 만든 의약품' 혈액제제…"제조법 지속 개정해야"
혈액제제라는 말은 다소 낯설게 들릴 수 있다. 뜻은 간단하다. 혈액제제는 사람의 혈액을 원료로 만든 의약품이다. 혈액은 고형 성분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고 액상 성분으로는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응고성 단백 성분 등으로 구성된 혈장이 있다. 각각의 성분은 우리 몸 안에서 산소 운반, 신체 방어, 지혈 등 역할을 맡는다. 혈액은 헌혈을 통해 공급돼 다양한 분리 공정 등 제조과정을 거쳐 수혈용 혈액제제, 혈장분획제제 치료제 생산을 위한 분획용 혈장 등으로 사용된다. 혈장분획제제란 혈액 내 특정 단백질을 변질시키지 않고 필요한 성분을 분획·추출해 정제한 의약품이다. 혈액제제의 가장 큰 장점은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작다는 것이다. 인간 혈액에서 유래한 의약품인 만큼 생체적합성이 높고 몸에 들어가면 빠른 효과를 나타낸다. 그 덕분에 응급상황에서 중요하게 쓰인다. 합성의약품으로는 대체가 어려운 면역글로불린 등 단백질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GC녹십자와 SK플라즈마가 혈액제제를 생산한다. GC녹십자의 '알리글로'는 선천성 면역 결핍증으로도 불리는 일차 면역결핍증에 사용되는 정맥투여용 면역글로불린 10% 제제다.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