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항로 101년간 불밝힌 주문진등대…'11월의 등대'

한국 근대식 등대의 초기형태…인근에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 있는 '주문진 등대'가 해양수산부가 선정한 '11월 이달의 등대'로 선정됐다.

1일 해수부에 따르면 주문진등대는 1918년 3월 강원도에서 첫 번째로 세워졌다.

1917년 부산항과 원산항 간 연락선이 운항하면서 중간 기항지인 주문진항에 등대가 설치됐다. 등대의 불빛은 15초에 한 번씩 반짝이며 37km 거리의 바다까지 비춘다.

벽돌로 지어진 주문진등대는 한국 근대식 등대의 초기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 가치 또한 높아 등대 문화유산 제12호로 지정·보존되고 있다.

등탑의 기단 부분은 등대 규모보다 높게 축조돼 신전의 계단과 같은 장엄한 느낌을 주고, 주 출입구 부분은 르네상스식 건축양식이 도입돼 장식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등명기(밤에 등대의 불을 밝히는 기기)를 지키기 위해 등대 직원이 등명기를 둘러메고 부산까지 피난 갔다가 전쟁이 끝나고 다시 복구했다는 일화가 있다.

또 전쟁 당시 발생한 총탄 흔적이 등탑에 희미하게 남아 있어 등대에서 세월의 흔적도 엿볼 수 있다.

주문진등대 인근에는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 알려진 영진해변 방사제(해변 침식을 방지하고 바닷가 부근 모래 이동을 방지하는 인공구조물)가 있다. 연인들이 탁 트인 동해를 바라보며 인증사진을 남기는 장소로 유명하다.

해수부는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등대를 선별해 올해부터 매달 '이달의 등대'를 선정해 소개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의대, 미복귀 학생 처분 확정…1만명 이상 유급 가능성
전국 40개 의대의 미복귀 학생에 대한 유급·제적 처분이 7일 확정됐다. 무단결석으로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의대생들은 거의 전원 복귀했지만, 유급 대상 학생들은 대부분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1만명 이상의 의대생이 유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의대 학생회 대표들은 현 정부에서는 돌아갈 생각이 없음을 밝히며 '자퇴' 결의를 했다. 교육 당국과 각 대학 등에 따르면 전국 의대는 이날까지 미복귀 의대생의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교육부에 보고했다. 이날 이후로는 처분 결과를 번복할 수 없는 만큼 사실상 유급·제적 인원이 확정된 셈이다. 정부는 오는 9일 이후 전체 의대 유급·제적 현황을 공개하기로 했다. 일부 학교에서는 수십명 단위로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전향적인 복귀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수업 참여율은 지난달 말 26%에서 약간 오른 30% 안팎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전체 의대생 1만9천760명 중 약 1만여명이 유급 혹은 제적되는 셈이다. 일례로 전남대의 경우 70% 가까이가 유급되고, 휴학이 받아들여진 24학번을 제외한 25학번 대부분이 학사경고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대 의대의 경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