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베프리모, 반려동물 브랜드 '우노펫' 론칭

 

 

 ▲ 이탈리아 브랜드 뻬그뻬레고(Peg-Perego) 공식 수입원 베베프리모는 반려동물 브랜드 '우노펫'을 론칭하고 오는 24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케이펫 페어(K-PET FAIR)'에 참여한다고 22일 밝혔다.

 우노펫은 반려동물을 첫 번째로 생각하는 의미에서 기획·개발한 브랜드로, 대표상품으로는 강아지,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 유모차 '우노 쿼드(UNO QUAD)'가 있다.

 우노 쿼드는 각 4바퀴 휠 안쪽에 트리플 서스펜션과 뒷바퀴 자체 서스펜션을 적용해 안전을 최우선 으로 확보했으며, 4바퀴 볼 베어링을 장착해 부드럽고 편리한 핸들링이 가능하다.

 건강한 반려동물 외에도 슬개골 탈구 또는 질병 등으로 몸이 불편한 반려동물을 위해 노면과 외부 충격 전달을 최소화해 안전하고 편안한 주행을 지원한다.

 그뿐만 아니라 이번 케이펫에는 반려동물의 편안한 쉼을 위한 쿠션-라이프앱(Cushion-life@PP)도 함께 출품한다.

 특수조직 원단을 사용해 보다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휴대할 수 있는 수딩 슬리핑 매트(SOOTHING SLEEPING MAT)는 반려동물 산책을 위한 필수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는 밤새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한다.

 반려동물의 냄새·악취 탈취에 꼭 필요한 강력한 오디아웃(ODOUT) 소취제도 체험해 볼 수 있다.

우노펫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우노펫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경증환자 야간 진료…서울형 긴급치료센터·전담병원 운영
야간이나 휴일에 긴급한 진료가 필요하나 경증 질환이라는 이유로 응급실 진료를 받기 힘들었던 환자들을 위해 서울시가 긴급치료센터와 질환별 전문병원 운영을 시작한다 경증환자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응급실 혼잡을 줄이기 위해서다. 의료인력 부족·본인부담률 인상 등으로 응급실 이용 어려웠던 경증환자의 어려움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의료기관, 119구급대와 협력체계를 구축해 야간·휴일 경증환자가 응급진료를 받을 수 있는 '서울형 긴급치료센터'(UCC) 2곳과 '서울형 질환별 전담병원' 4곳을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우선 서울형 긴급치료센터 2곳을 매일 아침 9시부터 밤 12시까지 운영한다. 올해 더 건강한365의원(양천)과 서울석병원(송파)을 시작으로 매년 확대할 계획이다. 긴급치료센터는 응급실이 방문이 잦은 경증환자질환인 외상, 급성기 질환(복통, 기침, 고열, 구토 등) 등을 중심으로 진료한다. 응급처치 후에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거나 중증환자로 진단 된 경우 인근 상급 의료기관으로 전원 조치할 수 있는 대응체계도 구축했다. 서울형 질환별 전담병원은 외상환자 대상 24시간 진료 병원이다. 시는 올해 원탑병원(강서), 서울연세병원(마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역량 갖춘 바이오 인재 절실…기업·대학 협업해 양성해야"
우리나라에서 첨단 바이오 분야 인재를 양성하려면 기업과 교육 기관이 협력해 경력 개발 프로그램, 인턴십 등을 제공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역량까지 요구되는 바이오 분야 특성상 기업 등 단일 행위자의 노력만으로는 인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24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홍성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센터장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이달 발행한 '지속 가능한 바이오 인력양성 및 확보 전략' 보고서에서 이같이 조언했다. 보고서는 우선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 발전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한계를 보인다는 점을 지적했다. 올해 네이처 인덱스의 연구 분야별 순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물리, 화학에서 각각 6위, 7위를 기록했으나 바이오 관련 분야인 생물은 14위에 그쳤다. 네이처 인덱스는 글로벌 출판 그룹 네이처가 주요 자연과학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수와 작성 기여도, 학문 분야별 가중치 등을 산출해 수치로 변환한 지표다. 네이처는 한국의 논문 성과와 연구개발(R&D) 지출을 비교하면 다른 국가와 비교해 '투자 대비 성과'가 부족하다고도 평가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바이오와 디지털 2개 분야를 접목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에 적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