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심근경색 치료법 환자적용 못해…심사에 가로막혀

서울대병원 "유효성 입증 불구"…이달말 최종평가

 심근경색 환자의 심장 괴사를 막는 줄기세포 치료법이 신의료기술로 인정받기 위한 최종평가를 앞두고 있다.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김효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은 줄기세포 치료법 '매직셀'을 개발하고 올해 2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신의료기술 평가를 신청했다.

 심근경색 환자들은 표준적으로 혈관을 뚫어주는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을 받는다. 하지만 스텐트 시술을 받더라도 일부 심근은 손상된 상태로 남아있고, 심근경색 이후에도 심근 손상이 진행돼 심부전 등을 겪게 된다.

 매직셀은 이런 심근 손상을 개선하는 치료법이다. 스텐트 시술 이후 환자 심장에 환자의 말초혈액 줄기세포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이 줄기세포에서 나온 이로운 인자들이 심근세포 재생을 도와 심장 괴사를 막는다.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 12년간 '란셋'(Lancet),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 등 국제학술지 16편에 게재됐다.

 하지만 매직셀은 현재 환자에게 적용할 수 없다.

 새로운 의술이 임상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신의료기술 등으로 인정받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신의료기술 평가위원회는 이달 말 매직셀에 대한 최종심사를 할 예정이다.

 다만 지난달 예비심의에서는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매직셀이 제한적 신의료기술로 선정돼 2014년 10월 1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임상을 시행한 결과, 심장 기능이 개선된다는 유효성이 일관되게 입증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김 교수는 "평가위원회에서는 매직셀이 스텐트와 비교해 좋은 점이 무엇인지 입증하라고 한다"며 "매직셀은 스텐트 시술 이후 환자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이뤄지는 추가적인 치료인데 평가위원회가 개념 자체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매직셀의 효과와 안전성은 저명한 국제학술지를 통해 학술적으로 입증됐다"며 "그런데도 전문성이 부족한 평가 절차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피로 만든 의약품' 혈액제제…"제조법 지속 개정해야"
혈액제제라는 말은 다소 낯설게 들릴 수 있다. 뜻은 간단하다. 혈액제제는 사람의 혈액을 원료로 만든 의약품이다. 혈액은 고형 성분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고 액상 성분으로는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응고성 단백 성분 등으로 구성된 혈장이 있다. 각각의 성분은 우리 몸 안에서 산소 운반, 신체 방어, 지혈 등 역할을 맡는다. 혈액은 헌혈을 통해 공급돼 다양한 분리 공정 등 제조과정을 거쳐 수혈용 혈액제제, 혈장분획제제 치료제 생산을 위한 분획용 혈장 등으로 사용된다. 혈장분획제제란 혈액 내 특정 단백질을 변질시키지 않고 필요한 성분을 분획·추출해 정제한 의약품이다. 혈액제제의 가장 큰 장점은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작다는 것이다. 인간 혈액에서 유래한 의약품인 만큼 생체적합성이 높고 몸에 들어가면 빠른 효과를 나타낸다. 그 덕분에 응급상황에서 중요하게 쓰인다. 합성의약품으로는 대체가 어려운 면역글로불린 등 단백질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대표적으로 GC녹십자와 SK플라즈마가 혈액제제를 생산한다. GC녹십자의 '알리글로'는 선천성 면역 결핍증으로도 불리는 일차 면역결핍증에 사용되는 정맥투여용 면역글로불린 10% 제제다. 2023